![]()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 워싱턴 백악관에서 모든 외국산 자동차 품목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고 있다. / UPI=연합 |
[대한경제=강성규 기자]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4월3일부로 미국으로 수입되는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같은 날 시행을 예고한 상호관세를 ‘모든 나라’에 적용하겠다고 선포했다.
동맹국도 예외없는 ‘관세 전쟁’이 본격화되면서 자동차 부문이 최대 대미 수출품목인 한국으로선 상당한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6일(현지시간) 미국 밖에서 생산된 모든 수입차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는 4월2일 발효돼 다음날 0시1분(미국 동부시간 기준) 징수된다.
트럼프는 서명 후 기자회견에서 “우리가 할 일은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은 모든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것”이라면서 “미국에서 만들어졌다면 전혀 관세 대상이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특히 외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가 자신의 임기 동안 ‘영구적(permanent)’으로 지속될 것이라고 못박았다. 아울러 미국 생산 자동차에 대해서만 차량 대출 이자에 대한 세금을 공제하는 입법을 추진할 계획도 밝혔다.
외신 등에 따르면 관세는 완성된 차량뿐 아니라 엔진ㆍ트랜스미션 등 핵심 자동차 부품에도 적용된다.
다만 주요 부품에 대한 25% 관세는 최대 한 달간 유예하기로 했다. 미 정부는 연방 공지를 통해 주요 부품 관세 부과일을 확정하고 관세 부과 대상인 세부 품목별 코드도 공개할 예정이다.
트럼프는 또 상호관세에 대해선 예고대로 4월2일 발표될 것이라고 재확인했다. 특히 ‘모든 교역국’을 대상으로 할 것이라며 “그러나 굉장히 유연하게 부과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는 수입차 관세를 통해 연간 1000억달러(약 147조원)의 관세 수입이 예상된다며 이를 통해 미국의 부채를 줄이겠다고 확언했다.
그러나 당장 현지에서부터 회의적인 목소리가 분출되고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트럼프는 관세가 국내 생산을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지만, 공장 설립은 일반적으로 수년이 걸리며 비용도 수십억달러가 소요되기에 쉽지 않다며, 오히려 “유럽, 일본, 한국과 자동차 관련 무역 충돌이 더 많이 빚어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강성규 기자 gga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