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등이 28일(현지시간)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CEO) 회동에 참석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
[대한경제=강성규 기자] 시진핑 중국 국가 주석이 글로벌 대기업 최고경영자들을 만나 투자 유치에 직접 나섰다. 특히 이재용 삼성 회장과 곽노정 SK하이닉스 사장도 함께 시 주석과 만남을 가졌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촉발한 ‘관세전쟁’이 본격화 된 대외개방 의지를 재확인하며 경제적 ‘우군’을 확보하려는 행보로 풀이된다.
28일 로이터 등 주요 외신들에 따르면 시 주석은 이날 오전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23∼24일 중국발전포럼(CDF)에 참가하기 위해 중국을 방문한 글로벌 기업 CEO 40여명을 만났다. 이 회장과 곽 사장도 자리에 함께 했다.
시 주석은 이 자리에서 ‘중국에 안심하고 투자해 달라’는 메시지를 발신했다.
그는 “중국의 발전에 참여하고 지원해준 모든 외국 기업에 진심 어린 감사를 표한다”며 “중국은 이전에도, 지금도, 미래에도 외국 기업인들에게 이상적이고 안전하며 유망한 투자처”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외자 기업들이 법에 따라 생산 요소에 공정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겠다”면서 “중국은 개혁개방을 진전시키기 위해 확고하게 전념하고 있다. 개방의 문은 점점 더 넓게 열릴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회동은 중국이 외국인 투자 유치에 열을 올리는 가운데 열렸다.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둔화한 외국인 투자는 최근 수년간 중국 경기 악화와 당국의 규제·단속 강화 등으로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대(對)중국 외국인 직접투자(FDI)는 전년 대비 27.1% 감소했다.
시 주석은 지난해 중국발전포럼 이후 미국 기업 CEO들 및 학계 인사 약 20명과 만난 바 있다. 올해는 미국뿐만 아니라 한국, 독일, 프랑스, 덴마크, 스웨덴, 사우디아라비아 등 더 다양한 국가의 기업인들과 만났다. 참석자 수도 두배로 늘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정부의 보호무역 정책 기존에 맞서 ‘자유무역 옹호자’로서의 입장을 부각하며 세를 모으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중국은 미국 정부에는 보복관세 등으로 맞대응하는 한편, 미국을 비롯한 서방 기업을 향해서는 투자 유인책을 내놓고 2년 전 구금한 미국 기업 중국인 직원들을 최근 석방하는 등 유화적 태도를 보이며 ‘중국은 개방적’이라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
시 주석은 이날도 “다른 사람의 길을 막는 것은 결국 자신의 길만 막을 뿐이다. 다른 사람의 불빛을 끄는 것으로 자신의 불빛이 밝아지지 않는다”며 “경제 및 무역 마찰은 평등한 대화와 협의를 통해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다국적 기업들은 세계 경제질서를 수호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해야 하며 중요 책임을 져야 한다”면서 “역사의 시계를 거꾸로 돌리려는 모든 행위를 거부하고 제로섬 게임도 그만둬야 한다. 글로벌 공급망의 안정성을 방해하는 모든 종류의 움직임을 맹목적으로 따르지 않아야 할 것”이라고도 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트럼프가 알루미늄에서 자동차까지 관세를 연이어 부과한 미국과 달리 중국은 글로벌 무역에서 안정성의 보루로 스스로를 홍보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강성규 기자 gga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