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운데)가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대한경제=김광호 기자] 더불어민주당은 9일 당내 대통령 선거 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선거관리위원장에 4선 박범계 의원을 임명했다. 경선 규칙을 정하는 특별당규준비위원장에는 4선의 이춘석 의원이 임명됐다.
민주당은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최고위원회의를 개최하고 이같이 결정했다고 밝혔다.
선관위원에는 김정호ㆍ임오경ㆍ임호선ㆍ김남희ㆍ김동아ㆍ박정현ㆍ박지혜ㆍ정진욱ㆍ채현일 의원이 임명됐다. 원외에선 우서영 경남 밀양ㆍ의령ㆍ함안ㆍ창녕지역위원장, 유정배 강원 춘천ㆍ철원ㆍ화천ㆍ양구을지역위원장, 이지은 서울 마포갑지역위원장, 이현 부산 진구을지역위원장, 허소 대구광역시당위원장이 참여하기로 했다.
또한 당내 경선 선거인단 모집 등을 위한 대선특별당규위 인선도 마쳤다. 특별당규위는 4선의 이춘석 위원장을 포함해 맹성규ㆍ김현ㆍ모경종ㆍ박지혜ㆍ황명선 의원과 전은수 전 최고위원, 갈상돈 경남 진주갑지역위원장, 김한나 서울 서초갑지역위원장 등 9명으로 구성됐다.
이와 함께 경선 선거인단 모집에 참여할 수 있는 권리당원 기준은 ‘2024년부터 9월 30일까지 입당한 당원 중 2024년 4월부터 2025년 3월 말까지 1년간 당비를 6회 이상 납부한 자’로 정했다. 권리당원 행사 시행일은 이달 1일부터다.
이와 관련해 황정아 민주당 대변인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이러한 안을 마련하고 있고, 선거 경선을 위한 권리당원 선거인단은 특별당규를 따르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차기 원내대표 선출을 위한 원내선관위도 구성했다. 4선 한정애 의원이 위원장을 맡기로 했으며, 3선 권칠승 의원이 부위원장에 임명됐다. 이소영ㆍ오세희ㆍ정준호 의원이 위원으로 참여한다.
차기 원내대표 선거는 대선 후 치러질 것으로 보인다. 박찬대 원내대표 임기는 당초 내달 2일까지이지만, 임기 종료일이 차기 대선과 맞물렸기 때문이다. 황 대변인은 “차기 원내대표 선거는 대선 후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최고위를 통과한 해당 안건은 이날 중 당무위원회를 거쳐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한편, 야권 잠룡으로 꼽히던 김부겸 전 국무총리는 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전 총리는 이날 입장문을 통해 “이번 민주당 대선 경선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했다”며 “앞으로도 정권 교체를 위해, 국민 통합의 새로운 대한민국의 전진을 위해 국민 여러분과 함께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파면 선고는 위대한 국민의 승리이자 민주헌정질서 회복의 출발점”이라며 “이번 대선은 더 큰 민주당으로 내란을 완전히 종식하고, 새로운 대한민국으로 나아가는 헌법개정 등 제도개혁의 전환점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각에선 김 전 총리의 입장을 놓고 조국혁신당이 제안한 범진보 진영 통합 ‘완전 국민경선(오픈프라이머리)’ 등에 참여할 여지를 남긴 게 아니냐는 추측도 있으나, 성사 가능성이 희박한 상황임을 고려하면 사실상 불출마 선언이라는 해석에 무게가 실린다. 아울러 민주당 경선에서 이재명 대표의 승리가 유력하게 점쳐지는 상황에서 ‘비이재명계’ 주자들의 활동 공간이 넓지 않다는 현실적 문제 등을 고려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다른 비명계 주자로 거론되던 박용진 전 의원과 김영록 전남지사 역시 불출마를 선언한 바 있다.
김광호 기자 kkangho1@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