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선 경선 후보 8명(안철수 의원,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 유정복 인천시장, 이철우 경북도지사, 나경원 의원, 양향자 전 의원, 한동훈 전 대표, 홍준표 전 대구시장)이 기념 촬영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
[대한경제=강성규 기자] 6ㆍ3 대선을 앞둔 국민의힘에서 파면된 윤석열 전 대통령발 파장이 확산되는 모양새다.
윤 전 대통령이 사실상 ‘사저 정치’에 들어가며 파면에 대한 승복 없이 지지층 결집을 위한 메시지를 잇따라 내고, 윤 전 대통령의 이름을 딴 신당 창당을 추진하면서 반발 여론도 더욱 확산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대선 후보들 사이에선 윤 전 대통령의 탈당 등 ‘절연’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져가고 있다.
안철수 후보는 SNS에서 “이대로면 대선은 필패”라며 “전직 대통령을 방어하는 정당은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앞서 유정복 후보도 “이제 윤석열 전 대통령을 잊자”고 촉구한 데 이어, 이날도 “윤 전 대통령을 붙들고 간다? (대선은) 필패”라고 강조했다.
양향자 후보 또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국민의힘이 새로운 보수의 길을 가려면 극우와의 ‘절연’이 필수”라며 “후보들이 윤 전 대통령의 지지세를 등에 업으려고 ‘구걸 전략’으로 가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비판했다.
한동훈 후보는 당 대표 시절 윤 전 대통령의 제명을 당 윤리위원회에 공개적으로 지시했다며 ‘절연론’을 재확인했다.
반면 탄핵 정국에서 윤 대통령을 옹호해 온 후보들은 적극적으로 반박하거나 침묵하고 있다.
홍준표 후보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윤 전 대통령이 ‘우리 당의 이름으로 정권교체를 해줬다’며 “물론 3년 동안 정치를 잘못해서 탄핵은 됐지만, 시체에 또 난도질하는 그런 짓을 하는 것은 도리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나경원 후보도 “대선 경선을 하면서 윤 전 대통령을 자꾸 끌어들이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반대했다.
앞서 윤 전 대통령의 탄핵심판을 담당했던 변호인단은 전날 ‘윤어게인 신당’ 창당을 예고했다가 반나절 만에 보류했다. 윤 전 대통령 측과 국민의힘 인사들이 나서서 적극 만류한 것으로 전해졌다.
박수민 원내대변인은 “윤 전 대통령은 지금 내란죄 재판 과정에 성실히 임하고 계신다”면서 “신당 창당은 젊은 지지자들 위주로 의견을 표출할 수는 있지만 현실로 진행되기는 어렵기 때문에 해프닝으로 그쳤다”고 설명했다.
김성태 전 의원은 라디오 인터뷰에서 “윤 전 대통령께서 민주당 이재명 전 대표에게 전생에 무슨 신세를 졌길래 , 수많은 헌신과 희생 속에서 만들어진 이 정권을 통째로 갖다 바치는 것도 모자라서 신당까지 만들어서 조기 대선 정국에서 보수의 분열을 획책하나”라고 정면 비판했다.
강성규 기자 gga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