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김태병 국토부 기술안전정책관 “스마트 건설 활성화, 건설산업 부활의 열쇠”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04-23 16:01:36   폰트크기 변경      

23일 서울 강남구 오크우드 프리미어 코엑스센터에서 열린 건설산업비전포럼 제251차 조찬토론회에서 김태병 국토부 기술안전정책관이 스마트 건설 활성화 방안에 대해 발표하고 있다./사진=안재민 기자

[대한경제=안재민 기자]“스마트 건설 활성화가 건설산업 부활의 열쇠입니다”

김태병 국토교통부 기술안전정책관은 23일 서울 강남구 오크우드 프리미어 코엑스센터에서 열린 건설산업비전포럼 제251차 조찬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정책관은 “최근 건설 공사 현장에서 잇따라 발생하는 대형사고로 건설 산업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좋지 않다”며 “건설업에 종사하면 일찍 출근하고 늦게 퇴근한다는 이미지 때문에 청년들도 건설업을 떠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어 “건설 안전의 확보, 산업을 떠났던 청년들의 재유입 모두 스마트 건설의 활성화를 통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스마트 건설 활성화를 위해 국토부는 건설 산업의 디지털 전환과 안전 혁신을 위한 종합 방안을 마련하고, 올해부터 스마트 건설 관련 연구개발(R&D) 투자와 제도 정비를 본격 추진한다,

김 정책관은 “올해 토공 자동화, 무인 측량 등 개발된 기술들을 고속도로 등 실제 공사현장에 실증하고 있다”며 “이런 기술들이 널리 쓰이게 되면 사람은 현장에서 떨어진 안전한 곳에서 각종 건설 장비를 효율적으로 제어하게 돼 업무 능률이 오를 뿐더러, 사고로부터 안전해진다”고 말했다.

이어 “건설 현장이 젊은 여성도 근무가 가능한 곳으로 변모하게 될 것으로 예상하며, 자연스레 청년들이 건설 산업으로 돌아오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국토부는 국회와 함께 스마트건설 제도 기반 마련에 나선 상황이다.

김 정책관은 “송석준 국민의힘 의원이 지난 12월 발의한 ‘건설기술진흥법 개정안’과 손명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지난 2월 발의한 ‘건설기술진흥법 일부 개정안’이 통과되면 스마트건설 관련 법적 정의가 명확해지고 제도적 지원 근거도 생겨날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국토부는 스마트 건설 평가 반영과 표준품셈을 마련하는 등 법과 제도를 정비해 스마트건설 활성화를 지원 사격한다는 방침이다. 표준품셈이란 공공공사에서 공종별로 단위 작업당 필요한 인력, 장비 등을 수치화한 것으로 적정공사비 산정의 기준이 된다.

그는 “정부는 건설엔지니어링 종합심사낙찰제 평가에 빌딩정보모델링(BIM) 등 스마트건설 기술 활용, 전문인력 구성 등을 반영하고 있으며 스마트건설 표준품셈도 마련한 상황”이라며 “오는 6월 출범하는 수요응답형 표준품셈 협의체를 통해 신기술 도입, 공법 다양화 등 현장 변화에 따른 품셈 개선 수요를 수시 발굴하고 검증ㆍ반영하겠다”고 강조했다.


안재민 기자 jmahn@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건설산업부
안재민 기자
jmahn@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