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포스코이앤씨의 포스코 빅링크 개념도. /사진:포스코이앤씨 제공 |
이번 연결 구체화 방안의 핵심 전략은 전면1구역을 중심으로 용산역과 용산국제업무지구를 각각 이어주는 ‘포스코 빅링크(POSCO BIG LINK)’이다. 단순히 점유 사업부지 근접성만을 근거로 연결을 강조하는 경쟁사 HDC현대산업개발의 계획안과는 달리, 포스코이앤씨의 ‘포스코 빅링크’는 실제 실행을 위해 철저한 사전 타당성 검토을 마친 계획으로, 경쟁사와는 차별화된 전략으로 평가받고 있다.
포스코이앤씨는 신용산역과 연결된 지하연결통로, 국제업무지구와 연결된 보행로, 단지내 지상부터 지하연결통로까지의 연결 실행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도시계획 및 기반시설 전문회사 더힘이앤씨와 협업했다.
더힘이앤씨는 해당 사업지 인근에서 물리적으로 단절돼 있던 아모레퍼시픽 본사와 신용산역을 연결하는 지하통로 사업을 수행한 바 있다.
또 ACRO(아크로) 서울포레스트-서울숲역, 센트로폴리스 지하연결통로 등 다양한 복합개발 프로젝트 실적을 보유한 전문기업으로 조합원들에게 높은 신뢰를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코 빅링크’는 단지와 외부를 지상부터 지하까지 입체적으로 연결하고, 교통ㆍ업무ㆍ상업 기능을 유기적으로 통합하는 복합 네트워크 전략이다.
포스코이앤씨는 이를 통해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을 단순한 주거지가 아닌 용산 네트워크의 중심축으로 설계하고 단절 없는 유기적 인프라를 통해 단지의 가치를 극대화하겠다는 구상이다.
포스코 빅링크는 세 가지 연결축으로 구성된다.
![]() |
역사 빅링크. |
![]() |
국제업무단지와 이어지는 빅링크 패스(Big Link Path). |
![]() |
단지 내 순환동선 기능을 수행하는 서클게이트(Circle Gate). |
이 세 가지 연결축은 단지 외부와 내부, 주거ㆍ상업ㆍ업무 기능을 하나의 흐름으로 통합해 공간 활용의 효율성과 기능성을 극대화하는 핵심 인프라로 작동한다.
포스코이앤씨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단순한 건축을 넘어, 공간과 공간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복합 네트워크 시스템 구축까지 아우르는 계획”이라며 “송도국제업무지구, 여의도 Parc.1(파크워), 서리풀복합개발 등 다양한 복합개발 경험을 통해 축적한 노하우와 기술력을 바탕으로, 용산정비창 전면1구역을 용산을 넘어 서울의 상징적 랜드마크로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황윤태 기자 hyt@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