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특정 정치인에 대한 테마가 소멸된 경우 주가가 급격히 반토막나는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 (출처 : 금융감독원) |
[대한경제=김동섭 기자] ‘6ㆍ3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정치테마주로 분류된 종목의 3분의 2 이상이 고점 대비 주가가 30% 이상 하락하면서 개인투자자 손실 우려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는 지난 9일 기준으로 정치테마주로 관리하는 60종목 가운데 주가가 고점 대비 30% 이상 하락 종목 비중이 72%에 달한다고 14일 밝혔다.
정치테마주는 정치인의 학연ㆍ지연ㆍ경력등 관계를 기반으로 정치 상황 변화에 영향을 받는 주식을 가리킨다. 금감원은 작년 말부터 지난달 18일까지 투자경고 이상을 받고, 정치인과 정책과 관련된 종목을 정치테마주로 선정했다.
대선을 다가오면서 정치테마주의 주가가 급격히 변동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실제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의 테마주로 알려진 에이텍의 주가는 지난달 2일 4만4500까지 치솟았으나 이날 2만4550까지 떨어지면서 44.8% 가량 급락했다.
정치테마주의 개인투자자 비중이 86.9%에 달하고 있어 주가 급변동 과정에서 손실 우려도 크다.
금감원이 지난 9일 기준으로 최근 1개월간 정치테마주에 투자한 개인투자자의 매매차익 분석 결과 42종목에서 손실 발생했다.
정치테마주 기업들의 실적이 부진하다는 점도 우려를 키우는 지점이다.
금감원에 따르면 이달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된 정치테마주 평균 매출액은 3317억원으로 코스피 시장 전체 평균(2조2290억원)을 밑돌았다. 코스닥 정치테마주의 평균 매출액은 590억원으로 코스닥 시장 평균(1214억원)에 못 미쳤다. 정치 테마주 기업 절반 이상이 영업이익으로 이자비용 조차 감당못하는 좀비기업 상태다.
금감원과 거래소는 정치테마주로 인한 개인투자자 피해 우려가 커지면서 모니터링과 사전 예방조치를 강화하기로 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정치 테마주는 주가 급등락을 예측하여 매매 시기를 포착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 개인투자자의 매매손실이 크게 발생할 수 있다”면서 “단순히 풍문을 유포하는 것만으로도 불공정행위로 지정해 고발과 과징금 부과조치를 취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동섭 기자 subt7254@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