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제약바이오 브리프] 조아제약ㆍ셀트리온제약ㆍ부광약품ㆍGC녹십자ㆍ보령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06-02 18:49:16   폰트크기 변경      

조아제약, 日 국제식품박람회 참가…세피지 앰플 우수성 알렸다


난달 21일부터 23일까지 일본 도쿄에서 열린 일본국제식품소재박람회 2025에서 조아제약 정철민 부장(오른쪽 첫 번째)과 최윤선 대리(왼쪽 첫 번째)가 부스를 방문한 일본 바이어들과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 사진: 조아제약 제공

조아제약이 지난달 21일부터 23일까지 일본 도쿄에서 열린 '일본국제식품소재박람회 2025(IFIA Japan 2025·HFE Japan 2025)'에 참가해 100건 이상의 수출 상담을 성사시키며 유의미한 비즈니스 성과를 거두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박람회는 식품 소재 및 기능성 식품 관련 신제품과 기술을 소개하는 일본 최대 규모의 국제 행사로 전 세계 380여 개 기업이 참가하고 약 3만 명이 참관하는 등 글로벌 바이어들의 관심이 집중됐다.

조아제약은 자사의 건강기능식품과 특허받은 용기 조아 세피지 앰플을 선보이며 현지 바이어 및 유통 관계자들과 OEM(주문자 상표 부착 생산)·ODM(제조자 개발 주문 생산) 등에 대한 협의를 진행했다.

그러면서 △특허받은 액상 용기 △건강한 컬러와 맛 △기능성과 사용자 편의성 등 자사 제품의 차별화된 요소를 집중 소개했으며 이 같은 제품 경쟁력이 일본 바이어들로부터 높은 관심과 긍정적인 반응을 끌어낸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일본 드럭스토어 유통망 진출이 가능한 제품군을 중심으로 한 상담이 활발히 이루어졌으며, 일본 내외의 주요 제조사 및 유통사와도 실질적인 공급 논의가 진행돼 수출 확대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을 높였다.

조아 세피지 앰플은 미국 약전(USP·United States Pharmacopeia)에서 최고 안전성 등급(Plastic Class VI) 인증을 받은 소재로 제작한 용기로, 안전성과 사용 편의성을 동시에 갖춘 것이 특징이다.

인체공학적 설계와 독창적인 디자인을 바탕으로 한국, 미국, 유럽, 일본, 베트남 등 24개국에서 특허를 취득하고, 중국과 쿠웨이트 등 11개국에 특허 출원을 마쳤다. 또한, 국가공인시험기관 코티티(KOTITI)로부터 환경호르몬 불검출 시험성적서도 획득했다.

조아제약 관계자는 “최근 일본 소비자들 사이에서 K-Health Food(한국산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며 “앞으로도 조아 세피지 앰플을 중심으로 일본 및 글로벌 시장에서 다양한 비즈니스를 전개하여, 자사의 특허 기술력을 기반으로 신성장 동력 확보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셀트리온제약,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앱토즈마’ 국내 판매 개시


앱토즈마피하주사 / 사진: 셀트리온제약 제공

셀트리온제약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악템라(성분명 토실리주맙) 바이오시밀러 ‘앱토즈마’의 국내 판매를 개시한다고 밝혔다.

앱토즈마는 체내 염증 유발에 관여하는 인터루킨(IL)-6 단백질을 억제해 염증을 감소시키는 인터루킨 억제제다. 류마티스 관절염(RA), 전신형 소아 특발성 관절염(sJIA), 다관절형 소아 특발성 관절염(pJIA) 등에 대한 적응증을 갖고 있으며, 국내 시장 규모는 약 200억원으로 추산된다.

개발사인 셀트리온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 총 47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앱토즈마(프로젝트: CT-P47) 글로벌 임상 3상 연구에 따르면 앱토즈마는 오리지널 의약품 대비 사전에 정의한 동등성 기준에 부합해 유효성, 동등성, 약동학 및 안전성을 확인했다.

이 같은 임상 결과 등을 토대로 셀트리온은 지난 1월과 2월 미국, 유럽에서 잇따라 앱토즈마의 품목허가를 획득하고 국내에서도 지난해 12월 정맥주사(IV) 제형 ‘앱토즈마주’를 국내 최초의 토실리주맙 성분 바이오시밀러로 허가 받아 ‘퍼스트무버(First Mover)’ 지위를 확보한 바 있다.

아울러 올해 2월에는 피하주사(SC) 제형인 ‘앱토즈마피하주사(162mg)’의 품목허가를 획득, 셀트리온제약이 24만 5938원으로 약가 등재 과정을 거쳐 이달 국내에 출시하며 경쟁 바이오시밀러 대비 시장을 선점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이번에 출시한 앱토즈마피하주사(Autoinjector, 자동주사제형)는 기존 제품 대비 한층 개선된 주사기 설계를 적용해 투여 편의성과 안전성을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기존 경쟁제품의 경우 외부 투약 버튼을 눌러 약물을 주입하는 반면, 앱토즈마피하주사는 피부면에 주사기를 누르면 바로 약물 투여가 가능하다. 이를 통해 투여 과정에서 주사 각도가 틀어지는 등 문제로 약물이 손실될 수 있는 우려를 해소했다. 또한 별도의 안정성 시험을 거쳐 사용기한을 제조일부터 36개월까지 확대했다. 이는 경쟁 제품의 사용기간 24개월 대비 12개월가량 늘어난 수치다.

셀트리온제약은 이번 SC 제형의 빠른 출시로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환자들의 치료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한편 시장점유율 확대를 위해 의료진을 대상으로 설명회를 진행할 계획이다. 아울러 향후 의료진이 환자의 상태와 편의를 고려해 선택적으로 처방할 수 있도록 올해 안에 정맥주사(IV) 제형인 앱토즈마주(80mg, 200mg, 400mg)도 출시할 예정이다.

셀트리온제약 관계자는 “앱토즈마는 강화된 편의성과 퍼스트무버의 이점을 바탕으로 국내 시장을 빠르게 공략해 시장에 조속히 안착할 것”이라며 “올해 제품 포트폴리오를 대폭 확대하며 바이오시밀러 부문에서 큰 성장을 이룰 전망”이라고 말했다.



부광약품, 간장질환용제 신제품 ‘레가덱스’ 출시


부광약품 본사 전경 / 사진: 부광약품 제공

부광약품이 간장질환용제 신제품 ‘레가덱스(성분 우르소데옥시콜산+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레가덱스는 간장질환용제 레가론의 라인업 확장 차원에서 발매하는 부광약품 최초의 복합제다. 레가덱스의 성분은 ‘우르소데옥시콜산(UDCA)’와 ‘비페닐디메칠디카르복실레이트(DDB)’다.

UDCA는 항염증, 항산화 효과로 AST(아스파테이트아미노전이효소)를 신속하게 정상화하는 작용기전이 있고, DDB는 ALT(알라닌아미노전이효소) 수치를 빠르게 떨어트리는 강점이 있다. 간 건강 지표로 흔히 활용되는 AST, ALT는 염증과 관계가 있다. 염증으로 간 세포가 손상되면 이 효소들이 피로 빠져나와 혈중 AST, ALT 농도가 높아진다

부광약품 에 따르면 레가덱스 임상 데이터를 살펴보면 4주 이내에 ALT 수치가 정상화되고 24주까지 유의하게 지속된다.

부광약품 관계자는 “이미 만성간질환 환자에게 다빈도로 처방되고 있는 ‘레가론’을 바탕으로 국내 간질환 영역에서 다양한 네트워킹이 형성돼 있다”면서 “레가론과 함께 병용처방을 통해 간질환 개선 효과가 있는 성분의 급여처방 가능한 최적의 조합으로 포지셔닝해 마케팅을 진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GC녹십자, 한국화이자제약과 ‘팍스로비드’ 국내 공동판매ㆍ유통계약


GC녹십자는 한국화이자제약과 경구용 코로나19 치료제 ‘팍스로비드(성분명 니르마트렐비르, 리토나비르)’ 국내 공동판매 및 유통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약에 따라 GC녹십자는 6월부터 팍스로비드의 국내 유통을 담당하게 된다.

양사는 팍스로비드의 마케팅부터 영업까지 다양한 활동을 함께하며 환자 접근성 확대에 박차를 가할 예정이다. 특히 2005년 ‘지노트로핀’ 공동판매 계약부터 이어진 양사간의 긴밀한 관계를 통해 사업 시너지를 극대화 한다는 복안이다.

최근 중국, 태국 등 아시아 지역에서 코로나19 재확산이 이어지는 가운데 국내에서도 여름철 유행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러한 시점에, 이번 계약은 안정적인 의약품 공급에 유의미한 역할을 할 것으로 분석된다.

허은철 GC녹십자 대표이사는 “GC녹십자는 감염병의 예방과 치료에 강점이 있는 기업”이라며, “양사간 긴밀한 협력으로 공중보건 안전망 강화에 일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오동욱 한국화이자제약 대표이사는 “국내 제약산업에서 오랜 경험과 전문성을 보유한 GC녹십자와 공동판매 및 유통 파트너십을 맺게 되어 기쁘게 생각한다” “한국화이자제약은 환자들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두는 회사로서의 사명을 갖고 코로나19로부터 환자들을 보호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을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보령, ESG 경영 성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사진: 보령 제공

보령이 ESG 경영 전략과 추진 성과를 담은 ‘지속가능경영보고서 2025’를 발간했다.

이번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인류를 위한 지속가능한 가치 창출’이라는 비전하에 추진한 2024년 ESG 경영활동 및 성과를 수록하고 있다. 보령은 2022년부터 매해 보고서를 발간하며 환경·사회·지배구조 분야의 성과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이해관계자들과 소통을 이어오고 있다.

지난해 보령은 환경경영 고도화를 위해 2050년 Net Zero 달성을 목표로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수립했으며, 온실가스배출량·에너지사용량 등 6대 환경지표에 대한 10개년 관리계획을 마련했다. 이와 함께 의약품 생산공장인 예산캠퍼스가 한국에너지공단으로부터 ‘자발적 에너지효율목표제 우수 사업장’으로 선정되는 등 에너지 관리 효율화에서도 성과를 거뒀다.

사회공헌 분야에서는 Humans In Space(HIS) Youth 프로그램을 개최해 중·고등부 연구 제안서 경진대회와 어린이 주제 그림전을 통해 선발된 학생들에게 NASA, Axiom Space를 비롯한 미국 정부 기관 및 민간 기업을 방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미래 세대에게 우주에 대한 꿈과 도전 정신을 심어주는 계기를 마련했다.

또한 보령은 생물다양성 보전활동에도 적극 임하고 있다. 보령은 지난해부터 예산캠퍼스가 위치한 예산군과 ‘황새 서식지 보전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천연기념물인 황새 보전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이어왔다. 서식지 개선 작업과 함께 안전한 번식을 도와줄 둥지탑 설치를 지원하는 등 생물종을 보호하고 지역사회와의 협력 강화를 위해 노력 중이다.

이 밖에도 보령은 급여 우수리 기부 캠페인, 종이컵 제로 캠페인, 폐의약품 수거 캠페인 등 임직원이 참여하는 다양한 지속가능경영활동을 추진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을 인정받아 2024년 한국ESG기준원이 시행하는 ESG 평가에서 첫 종합 A등급을 달성하기도 했다.

보령 관계자는 “앞으로도 ESG 경영을 기업 경영의 중요한 축으로 삼고 전사적인 노력을 이어갈 방침”이라면서 “특히 지난해부터 ESG 경영성과 및 계획을 연 1회 이사회에 보고하도록 이사회 규정을 개정했으며 이사회가 직접 ESG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중요 사항을 결의하는 등 책임경영체계를 구축했다”고 말했다.



GC녹십자, 말레이시아 혈장 임가공 계약 체결


(왼쪽부터) GC녹십자 대표 허은철 , SISB CEO Datuk Mohamed Nizam Bin Mohamed Jakel / 사진: GC녹십자 제공

GC녹십자가 말레이시아 JAKEL 그룹 산하의 Solid Intellectual SDN BHD(이하 SISB)와 혈장분획제제 공급을 위한 임가공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JAKEL 그룹은 말레이시아 유수의 민간기업으로 산하에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SISB는 그룹 내에서 제약 및 의료기기 유통을 담당하는 계열사다.

이번 계약은 2025년 3월, GC녹십자가 SISB와 함께 말레이시아 보건당국의 혈장 임가공 사업 입찰에 참여해 성사됐다. 해당 입찰에서 아시아 기업이 전량 위탁 사업자로 선정된 것은 GC녹십자가 처음이다.

계약에 따라 말레이시아 보건당국은 자국 혈액원(National Blood Center)을 통해 확보한 혈장을 SISB에 공급하며, SISB는 이 혈장을 GC녹십자로 유통하게 된다. GC녹십자는 해당 혈장을 원료로 알부민, 면역글로불린 등 혈액제제 완제품을 생산한 뒤, 이를 다시 SISB에 수출할 예정이다.

회사측은 2026년부터 최소 4년간 2400만 달러 이상의 혈액제제를 말레이시아로 공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이번 계약은 약 15년간 글로벌 제약사 CSL이 독점 수행해오던 사업을 GC녹십자가 새롭게 수주한 것이다. 아시아 기업이 해당 사업자에 선정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말레이시아는 혈장분획제제의 자급 체계가 구축되지 않은 국가이지만 정부차원에서 제품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인프라 강화 및 정책 지원이 병행되고 있어 시장 성장이 기대되는 국가 중 한 곳이다.

이우진 GC녹십자 글로벌사업본부장은 “앞으로도 국가 간 전략적 파트너십을 통해 글로벌 혈장분획제제 시장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김호윤 기자 khy2751@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생활경제부
김호윤 기자
khy2751@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