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본기 힐스ㆍ코엑스 사례 벤치마킹
국제 회의ㆍVIP 숙박 등 수요 기대
![]() |
서울 강남구 파크 하얏트 호텔. /사진:HDC현대산업개발 제공 |
[대한경제=이종무 기자] HDC현대산업개발은 글로벌 호텔 체인 하얏트그룹과 서울 용산 정비창 전면 제1구역에 하얏트 최상위 브랜드 파크 하얏트 호텔을 유치하겠다고 4일 제안했다
용산을 글로벌 비즈니스 도시로서 상징성과 품격을 더하고, 국제적인 업무-상업-숙박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복합시설로 재탄생시키겠다는 취지다.
일본 도쿄 롯본기 힐스가 그랜드 하얏트 도쿄를 단지 내부에 유치해 국제적인 마이스(MICEㆍ국제 회의와 컨벤션, 전시)와 고급 숙박, 글로벌 기업 수요를 흡수하고, 고급 오피스ㆍ상업시설로 분양성과 자산가치를 끌어올린 사례를 국내에서도 재현하겠다는 의지다.
실제로 파크 하얏트 호텔이 들어서면 가장 직접적인 수혜는 고급 비즈니스 수요가 유입될 수 있다. 국제 회의는 물론, 글로벌 기업의 VIP 접견, 하이엔드 고객 숙박, 문화ㆍ예술 이벤트 등 다양한 수요가 용산에 몰릴 수 있다. 동시에 보안, 교통, 통신 등 고급 인프라를 갖춘 업무 환경 조성이 가능해지고, 글로벌 금융사와 로펌 등 외국계 기업의 선호까지 이어질 수 있다.
상업시설 부문에서도 6성급 호텔 바로 옆이라는 입지 프리미엄이 강력한 유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 명품 리테일, 파인다이닝, 글로벌 뷰티ㆍ라이프스타일 브랜드 등 고급 소비 콘텐츠를 유치할 수 있고, 호텔 방문객과 업무ㆍ주거의 고정 수요를 확보할 수 있어 상업시설 안정성과 가치가 크게 높아진다.
![]() |
HDC현대산업개발이 제시한 서울 용산 정비창 전면 제1구역 예상도. /사진:HDC현대산업개발 제공 |
이러한 고급 복합 개발 전략은 이미 서울에서 성공적으로 구현한 적이 있다. 강남에 코엑스 인터컨티넨탈ㆍ파르나스호텔은 호텔과 대규모 오피스, 리테일, 전시장과 시너지로 지역 전체의 비즈니스ㆍ관광 기능을 강화했다. 여의도에선 IFC 몰의 콘래드호텔도 글로벌 금융기업 유치와 고급 상업시설 활성화에 기여했다는 평가다.
HDC현산 관계자는 “파크하얏트 호텔 유치를 중심 축으로 호텔+오피스+상업시설이 만들어내는 삼각 시너지를 용산 정비창에서 구현할 계획”이라며 “여기에 더 라인 330의 차별화된 스카이라인과 조경, 글로벌 명품 거리 조성 등이 더해지면 서울의 프리미엄 게이트웨이로서 용산의 가치와 위상이 더욱 높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종무 기자 jmlee@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