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용산국제업무지구는 되는데… 한남뉴타운 지역난방 고심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06-12 14:48:12   폰트크기 변경      

한남3구역 전경. / 사진 : 용산구청



[대한경제=임성엽 기자]정부 집단에너지공급계획에 차질이 예상된다. 집단에너지를 통한 국가 열에너지 이용 효율화와 탈 탄소 행보가 관건으로 떠올랐음에도, 서울 한복판 ‘단군이래 최대 규모’ 정비사업장에서 친환경에 역행하는 중앙난방이나 개별난방을 공급해야 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12일 관련 기관과 정비업계에 따르면 한국지역난방공사는 한남3재정비촉진구역에 ‘지역난방’을 공급할 지 여부를 두고 고심하고 있다. 한난에 따르면, 한남3구역은 기술적 문제로 열수송관 공급자체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한난 관계자는 “한남3구역은 원래 열 공급 대상지역으로 확정된 곳이 아니기 때문에 직접 신청을 받아 공급이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한다”며 “사업비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다.

한난은 열수송관 공급 시 교각 손상 가능성과 지반침하 가능성 등 기술적 문제를 근거로 한남3구역조합에 열수송관 건설이 어렵다는 입장을 전한 바 있다.

서울 한복판, 1만3000가구가 생활을 영위할 한남3구역에 중앙난방이나 개별난방이 공급되면, 정부는 물론 서울시가 추구하는 친환경ㆍ제로에너지 건축 정책에도 역행한다는 우려가 나온다. 한남3구역에 열수송관 건설공사가 수포로 돌아갈 경우에는 인근 2ㆍ4ㆍ5구역을 망라한 한남뉴타운 전체에 지역난방 공급을 할 수 없을 전망이다. 

지역난방 대비 환경오염배출량이 많고, 효율은 낮은 중앙ㆍ개별난방을 대규모 신축아파트 현장에 적용하면, 범 정부 집단에너지공급 기본 목표에도 차질이 예상된다. 산업통상자원부의 제6차 집단에너지공급 기본계획에 따르면 정부는 2028년까지 총 446만호에 지역난방을 공급할 계획이다.


지역냉난방은 최근 5년 간(2019~2023) 온실가스 연평균 617만9000톤을 감축하는 등 대기오염물질 감축 등 친환경성을 입증했다.

중앙난방은 구 신도시에서 사용해왔고, 개별난방은 원룸이나 다세대주택의 열원공급 방식이다. 신도시건설이나 대규모 아파트단지에 공급하는 난방 방식이 아니라는 설명이다.

에너지업계 고위 관계자는 “정부가 개별 난방 위기에 놓인 조합에 앞장서서 주민들에게 설득을 해야 할 판인데 안 된다는 얘기를 하는 게 이해가 안 된다”며 “중앙 정부가 자극을 받으면 무조건 지역난방을 공급해야 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국지역난방공사는 한남3구역 인근의 용산국제업무지구(용산정비창 개발사업)에는 지역난방을 공급할 계획이다. 이미 용산국제업무지구 인근에 열수송관이 있어 관을 새로 건설해야하는 한남뉴타운과는 결이 다르다는 설명이다.

이와 관련 한국지역난방공사 관계자는 “용산국제업무지구는 인접한 곳에 공사의 열수송관이 지나고 있어 지역난방공급이 가능한 상황이지만, 한남재정비지구는 열수송관 공급에 어려움이 있어 재개발 조합과 협의를 진행 중에 있다”고 말했다.

임성엽 기자 starleaf@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부동산부
임성엽 기자
starleaf@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