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상범 네이버 검색플랫폼 리더가 12일 서울 강남구 네이버 D2SF에서 통합 AI 에이전트를 향한 자사의 검색 방향성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 네이버 제공 |
[대한경제=이계풍 기자] “생성형 AI(인공지능) 기술 확대로 정보검색에서 사용자의 복합 니즈를 해결하는 단계로 검색 외연이 확장되고 있습니다”
김상범 네이버 검색플랫폼 리더는 12일 서울 강남구 네이버 D2SF에서 통합 AI 에이전트를 향한 자사의 검색 방향성을 소개하는 자리에서 “네이버는 글로벌에서 몇 안 되는 검색 기업으로서 독보적인 검색 인프라와 한국 사용자에 특화된 풍부한 데이터를 갖춰 AI 검색 시장에서 차별성을 확보할 유리한 조건을 보유하고 있다”며 AI 검색 서비스 강화 의지를 밝혔다.
네이버는 이날 정보ㆍ쇼핑ㆍ로컬ㆍ금융 등 버티컬 에이전트를 결합해 사용자에게 끊김없는 AI 검색 경험을 제공하는 ‘통합 에이전트’ 구축 계획을 발표했다.
네이버는 지난 27년간 구축한 검색 인프라를 기반으로 서비스 운영 노하우와 풍부한 데이터를 축적해왔다. 작년 8월부터는 다변화되는 사용자 검색 니즈에 대응하고자 웹 검색 색인 규모와 성능을 대폭 개선했다. 블로그, 카페, 지식iN 등 사용자 제작 콘텐츠(UGC) 서비스와 쇼핑, 지도, 페이 등 버티컬 서비스를 중심으로 글로벌 빅테크와 차별화된 검색 생태계를 구축한 것이 강점이다.
김 리더는 “질의분석 및 요약, 문서분석 등 각 태스크에 적합한 다양한 형태의 검색 초거대언어모델(LLM) 라인업을 세분화해 구축하고, AI 검색에 필요한 콘텐츠 확보를 위한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검색 품질을 높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현재 통합검색에 도입된 ‘AI 브리핑’은 출시 초기 대비 노출이 약 3배 확대되는 등 사용자 만족도가 크게 향상됐다는 평가다. AI 브리핑 하단 ‘더보기’ 버튼 클릭률은 출시 초기 대비 50%, 관련 질문 클릭률은 기존 검색어 추천 영역 대비 3.4배 증가했다. 네이버는 연내 AI 브리핑 노출을 약 20% 수준으로 확대하고, 금융ㆍ헬스케어 등 다양한 주제에 특화된 AI 브리핑을 순차 도입할 계획이다. 해외 문서 번역 및 요약, 긴 영상 핵심 요약 등 다국어 지원과 멀티미디어 결합 형태도 선보일 예정이다.
김재엽 네이버 서치 리더는 “정보, 쇼핑, 로컬, 금융 등 각 주제별 DB와 서비스가 결합된 버티컬 검색의 강점을 살린 AI 브리핑이 다양한 에이전트의 기반이 될 것”이라며 “향후 사용자의 검색 과정을 하나의 경험으로 자연스럽게 연결한 맞춤형 통합 에이전트를 선보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내년 중 도입 예정인 ‘AI 탭’은 통합검색에서 별도 페이지 형태로 노출되며, 연속 대화를 통해 사용자 맥락을 깊게 이해하고 예약ㆍ구매ㆍ결제 등 최종 액션까지 지원한다. 네이버는 AI 검색 환경에서도 콘텐츠 창작자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AI 하이라이트 프로젝트’도 준비 중이다.
김재엽 리더는 “네이버는 국내 사용자에 대한 가장 깊은 인사이트로 통합검색이라는 독보적인 검색 모델을 통해 검색 시장을 지켜왔다”며 “AI 검색에서도 버티컬 에이전트를 특화시키며 끊김없는 검색 흐름을 제공할 수 있는 통합 에이전트를 선보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계풍 기자 kplee@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