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직무대행 겸 원내대표(왼쪽)와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지난 18일 국회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실에서 추경안, 원구성 등 현안을 논의한 뒤 헤어지며 악수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대한경제=김광호 기자] 여야는 19일에도 국회 본회의 일정과 상임위원장 배분 문제를 논의했지만 입장차만 재확인했다. 이에 오는 23일 다시 논의하기로 했다.
문진석 더불어민주당 원내수석부대표와 유상범 국민의힘 원내수석부대표는 이날 오후 국회에서 약 1시간 30분 가량 비공개 회동을 했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민주당은 공석인 국회 법제사법위원장과 예산결산특별위원장을 비롯해 기획재정위원장, 운영위원장을 선출하기 위한 본회의를 조속히 열자고 주장한다. 또한 상임위원장은 협상 대상이 아니다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앞서 여야가 22대 국회 개원 당시 2년 임기로 위원장을 맡기로 합의한 만큼, 현시점에서 법사위원장 등을 넘길 수 없다는 것이다.
반면 국민의힘은 대선 결과로 여야가 바뀐 상황에서 행정부 견제를 위해 법사위원장을 넘겨야 한다며 맞서고 있다.
이같은 입장 차는 이날 회동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다. 문 수석부대표는 “유 수석부대표가 상임위 배분에 대한 역사를 공부해달라며 자료를 우리에게 줬고 (저도) 민주당의 입장을 충분히 말씀드렸다”며 “야당이 상임위 2개를 넘겨달라는 주장을 하는데 저희는 1기 원내지보두가 협상한 결과를 바꾸는 것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야는) 오는 23일 다시 만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유 수석부대표는 “어제부터 (민주당의) 입장 변화가 없어 유감”이라며 “원내 1당이 운영위와 법사위, 예결위를 한번에 맡는 전례가 없다는 것은 많은 민주당 유명정치인들이 얘기를 해온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법사위원장 요구도) 국회 내 견제와 균형을 이루기 위해 필요한 부분”이라며 “지난해와 달리 정권이 교체돼 야당이 여당이 된 상황이기 때문에 이에 맞는 요청을 했고, 양쪽의 입장 차이가 크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이어 “1기 원내지도부 협상 당시는 민주당이 대승을 거두고 나서 본인이 원하는 상임위를 모두 정한 뒤 나머지 상임위를 당시 여당에게 받을지 말지 결정하라고 강요한 사항이라 협의를 거쳤다고 하는 것은 동의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동에서 추가경정예산안 관련 논의는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유 수석부대표는 “추경안 자체에 대해서는 수석 간 협의에서 논의된 것이 없다”고 밝혔다.
김광호 기자 kkangho1@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