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진용 갖춘 3특검… 尹ㆍ김건희 수사 ‘초읽기’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06-22 15:23:53   폰트크기 변경      
임명 일주일만에 특검보 인선 끝내

조은석 특검, 김 前장관 추가 기소
민중기 특검, 주가 조작 정황 수사
이명현 특검, 불법 외압 파헤칠 듯


[대한경제=이승윤 기자] 내란ㆍ김건희ㆍ채상병 특검 등 이른바 ‘3대 특검’이 특검보 임명을 통해 지휘부 구성을 마무리하면서 윤석열 전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를 겨냥한 수사가 사실상 ‘초읽기’에 들어갔다.

3대 특검은 검사 파견과 특별수사관 임명 등 수사 인력 확보와 사무실 정비를 마치는 대로 이르면 이번 주부터 본격적인 수사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왼쪽부터) 조은석ㆍ민중기ㆍ이명현 특검/ 사진: 연합뉴스


22일 법조계에 따르면 12ㆍ3 비상계엄 사태와 관련해 윤 전 대통령의 내란ㆍ외환 혐의 등을 수사할 조은석 특검을 비롯해 김건희 여사와 관련된 각종 의혹을 수사할 민중기 특검, 고(故) 채수근 상병 순직사건 수사방해 의혹을 수사할 이명현 특검은 지난 12일 임명 이후 약 1주일 만에 특검의 ‘2인자’ 격인 특검보 인선을 모두 마쳤다.

내란 특검은 검찰 출신인 박억수ㆍ박지영ㆍ이윤제ㆍ김형수ㆍ박태호 특검보와 경찰 출신인 장우성 특검보 등 6명으로 지휘부를 꾸렸다.


김건희 특검에는 검찰 출신 김형근ㆍ박상진ㆍ오정희 특검보와 판사 출신인 문홍주 특검보 등 4명이, 채상병 특검에는 류관석ㆍ이금규ㆍ김숙정ㆍ정민영 특검보 등 4명이 각각 포진했다.

3대 특검은 각각 검찰과 경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등에 수사 인력 파견도 요청한 상태다.


역대 최대 규모인 내란 특검은 조 특검과 특검보 6명, 특별수사관 100명, 파견검사 60명, 파견공무원 100명을 합치면 최대 267명에 달한다. 김건희 특검도 205명(파견검사 40명), 채 상병 특검도 105명(파견검사 20명) 규모다.


채상병 특검의 경우 해병대 수사단과 국방부 조사본부, 검찰단 등에서도 수사 인력을 파견받을 방침이다.

3대 특검 중 수사에 가장 속도를 내고 있는 곳은 내란 특검이다.


앞서 조 특검은 지난 18일 ‘계엄 2인자’로 꼽히는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을 추가 기소했다. 김 전 장관에게는 계엄 선포 전 경호처를 속여 지급받은 비화폰을 민간인인 노상원 전 정보사령관에게 제공하고, 계엄 직후 비서에게 계엄 관련 자료를 파기하라고 지시한 혐의(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증거인멸교사)가 적용됐다.

특히 조 특검은 오는 26일 1심 구속기간 만료로 풀려날 예정인 김 전 장관에 대해 법원에 보석 결정 취소와 함께 추가 구속영장 발부를 요청한 상태다. 이에 따라 김 전 장관의 추가 구속 여부가 내란 특검의 첫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김 전 장관 측은 ‘별건 기소’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조 특검은 오는 23일 내란 우두머리 혐의 등으로 기소된 윤 전 대통령의 여덟 번째 재판부터 공소 유지도 직접 맡는다. 특검은 윤 전 대통령 사건을 검찰로부터 이미 넘겨받은 상태다.

윤 전 대통령의 외환 혐의도 특검의 수사 대상이다. 윤 전 대통령이 계엄 선포에 앞서 무인기 침투 등을 통해 북한의 공격을 유도하는 방식으로 전쟁이나 무력 충돌을 일으키려 했다는 의혹이 사실로 확인될 경우 외환죄 적용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가장 먼저 특검보 인선을 마친 민 특검도 수사 채비를 서두르고 있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의혹을 재수사 중인 서울고검 수사팀은 최근 미래에셋증권을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김 여사가 ‘블랙펄인베스트에 계좌를 맡기고 40%의 수익을 주기로 했다’는 취지로 밀하는 등 주가조작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정황이 담긴 증거를 확보했다.

앞서 ‘계좌가 주가조작에 이용된 것은 맞지만, 범행을 공모했거나 관여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김 여사에 대해 무혐의 처분을 내린 서울중앙지검의 수사 결과와는 상반되는 내용인 만큼 특검 수사 과정에서 핵심 증거가 될 전망이다.

채상병 특검도 공수처 등으로부터 수사 기록을 넘겨받는 대로 수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특검은 국방부가 채상병 사건 이첩을 보류시킨 배경에 윤 전 대통령의 ‘격노’ 등 불법적인 외압이 있었는지를 우선적으로 파헤칠 것으로 보인다.

이 특검은 이날 이번 의혹의 정점으로 지목된 윤 전 대통령 수사와 관련해 ‘다른 수사가 이뤄진 뒤 마지막에 소환조사하겠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승윤 기자 leesy@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정치사회부
이승윤 기자
leesy@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