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고흥 연근해 김-폐류 양식 어민들, ‘일방적 해상풍력 조성’ 강력 규탄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06-24 17:12:56   폰트크기 변경      
어촌계장협의회 등 어업인자생단체 ‘고흥군해상풍력반대대책위’ 발대 ‘어업인 반대 궐기’

고흥군수협이사회, 고흥군어촌계장협의회 등 고흥군 연근해 양식 어민 150여명은 23일 고흥군수협 대회의실에서 '고흥군해상풍력반대대책위원회 발대식'을 열고 해상풍력사업 추진을 반대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 사진 : 손영욱 기자

시산·동광·염포·탕건여 해역 4곳 1천MW 추진
사업 추진 강력 규탄 및 어업인 반대 의사 표명
실제 조업 어업인 배제…어촌사회 ‘갈등 불씨’


[대한경제 광주·전남취재본부 = 손영욱 기자]  전남 고흥군 연근해 양식 어민들이 고흥지역 어장에 추진 중인 해상풍력사업을 적극 반대하고 나섰다.


지난 23일 이 지역 어업인들은 고흥군수협 대회의실에서 '고흥군해상풍력반대대책위원회 발대식'을 열고 "정부의 재생에너지 육성정책에 편승해 고흥군 황금어장에 버젓이 해상풍력사업을 추진하는 민간 발전사업자들의 일방적 사업추진 행태를 지역 어업인들은 반대한다"고 규탄했다.


이날 대책위 발대식에는 고흥군수협이사회·대의원회, 고흥군어촌계장협의회, 한국여성어업인연합회고흥군수협분회, 고흥군어업인자생단체 등 150여명이 연대했다.


현재 고흥군 연근해·양식 어업인들의 주 조업 장소이자 삶의 터전인 시산면, 동광, 염포, 탕건여 등 고흥군 인근 해역을 대상으로 해상풍력발전단지가 민간 주도로 추진되고 있다.


대책위 등 어업인들은 "좁은 고흥군 바다에 대규모 해상풍력단지가 십 수개 조성되면 조업구역 상실은 자명하며, 발전기 설치공사와 송전케이블 매설 과정에서 해저면 교란, 부유사 발생 등 저서생물 서식지 파괴로 인한 수산업 피해가 발생한다"면서 "특히 방오 도료 등 화학물질 유출로 생물학적 피해도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대책위는 발전사업허가와 공유수면 점·사용 허가 등 인허가 과정의 문제점들도 지적했다. "실제 해상풍력 사업에 영향을 받는 실질적 이해당사자인 어업인이 배제된 채 주변 지역 주민들의 동의서만으로 수용성을 확인하고, 사업이 진행되는 행태가 고흥군 어촌사회 갈등의 주범이 되고 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한편 대책위는 어업인 발대식을 계기로 해수부·산업부 등 관련 부처와 전남도, 고흥군 등에 어업인 성명서를 전달하고, 제도개선 방안 요구와 함께 해상풍력반대 궐기대회도 개최할 예정이다. 


손영욱 기자 syu4009k@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