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태 위원장 임기 만료 후 새 비대위 출범 전망
송언석 원내대표, 비대위원장 겸임 가능성
![]() |
국민의힘 안철수 의원이 25일 ‘민심투어’ 일환으로 부산을 방문해 시민들과 만나고 간담회를 가졌다./사진:안철수 의원 SNS |
[대한경제=조성아 기자]8월 전당대회를 앞두고 국민의힘 당대표에 도전하는 당권 주자들의 보폭이 빨라지고 있다.
국민의힘은 26일 의총을 열고 이달 30일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의 임기가 종료된 후 새로운 비대위 체제를 띄우는 쪽으로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새 비대위는 8월로 예상되는 전당대회 준비를 위한 ‘임시 비대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런 가운데 국민의힘 당권 주자 중 안철수 의원이 가장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안 의원은 전날(25일) ‘민심투어’ 일환으로 부산을 방문해 시민들과 만나고 간담회를 가졌다. 안 의원의 민심투어는 지난 18일 대구에 이어 이번 부산 방문이 두번째 일정이다.
부산대병원을 찾은 자리에서 그는 “먹고사는 문제만큼 죽고 사는 문제도 중요하다”며 “정권이 바뀐 만큼 의료대란이 해결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역ㆍ필수의료를 어떻게 하면 다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인가 말씀을 들으러 왔다”면서 “정책이 필요하면 정책 부분, 예산이 필요하면 국회에서 함께 여야가 협의해서 제대로 해결하고자 하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안 의원은 최근 정치 현안에 대해서도 가장 적극적으로 목소리를 내고 있다. 25일 SNS에서 그는 최근 서울 부동산 가격 상승에 대해 “문재인 정부는 부동산 대책을 28차례나 난사해 주택시장을 쑥대밭으로 만들더니 이재명 정부는 시장이 완전 연소될 때까지 방치해 집값 난민을 양산할 생각인가”라고 거세게 비판했다.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은 아직 공개 행보는 하지 않고 있지만 대선 기간 도움을 준 인사들과 잇따라 만나고 있다. 지난 8일 대선 캠프 참여 인사들과 함께 관악산에 오르는가 하면, 지난 20일 여의도에서 대선 캠프에서 도움을 준 야권인사 40여명과 오찬을 했다. 당권 도전설에 대해선 “전혀 생각이 없다”면서도 ‘당에서 추대 여론이 만들어진다면 (출마) 의향이 있느냐’는 물음엔 “없는데 가정적으로 이야기하기 좀 그렇다”고 말을 아꼈다.
한동훈 전 대표는 유튜브를 통해 지지자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있다. 친한계 의원들도 당원 모집에 나서면서 한 전 대표 지지세력 확장을 위한 캠페인을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최근 친한계 주변에선 신중론도 대두되고 있다. 친윤계가 여전히 당내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는 상황에서 섣불리 당대표 출마를 결정해선 안된다는 것이다. 동시에 먼저 ‘배지’를 단 후에 대권 주자로 올라서는 것이 안정적이라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서는 내년 열리는 보궐선거에 한 전 대표가 인천 계양을이나 용인갑 등에 출마할 가능성이 제기된다.
![]() |
국민의힘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이 25일 충남 홍성군 충남도청에서 김태흠 충남지사를 만나 악수를 나누고 있다./사진:국민의힘 제공 |
김용태 위원장의 출마 가능성도 거론되고 이다. 자신이 제시했던 ‘5대 개혁안’에 대한 민심 청취를 위해 지역 일정을 소화하고 있는 것이 당권 도전을 위한 사전 행보라는 분석이 나온다.
당내 일각에선 차기 지도부를 당 대표와 최고위원들에게 권한을 나누는 ‘집단지도체제’로 바꿔야 한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그러나 당권 주자들의 반발로 실현 여부는 불투명하다는 관측이다.
안철수 의원은 이날 SNS에서 “집단지도체제는 단 한 발자국도 전진할 수 없는 변동 히드라에 불과하다”며 “절체절명의 위기 앞에서 필요한 것은 단 하나, 강력하고 혁신적인 리더십”이라고 강조했다.
나경원 의원도 “집단지도체제는 봉숭아학당(같은) 안 좋은 기억이 있다”며 “책임정치 실현과 안정적 리더십을 위해 단일지도체제가 더 적합하다”고 반대했다.
한동훈 전 대표 측 정성국 의원은 “한동훈 전 대표의 당권 도전을 견제하기 위한 사전 장치로 의심받을 수 있다. 또 무엇인가 꾸며지고 있다는 우려가 든다”며 음모론을 제기하기도 했다.
한편 국민의힘에서는 차기 비대위원장을 송언석 원내대표가 겸임하는 안이 거론되고 있다. 전대까지 시간이 많지 않아 새로운 인물을 비대위원장으로 영입하기보다는 원내대표가 겸임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조성아 기자 jsa@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