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투자 없이 생존 불가”…태광산업, 화장품ㆍ에너지ㆍ부동산에 1.5조 투자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07-01 16:48:52   폰트크기 변경      
석유화학·섬유 부진 극복 위한 사업구조 재편

태광산업 석유화학 3공장 전경/사진: 태광산업 제공

[대한경제=강주현 기자] 석유화학ㆍ섬유 업체인 태광산업이 주력 사업의 극심한 부진 속에서 생존을 위해 화장품ㆍ에너지ㆍ부동산개발 사업에 조 단위 투자를 단행한다. 석유화학과 섬유 업황이 극도로 악화하는 상황에서 적극적인 사업구조 재편 없이는 미래 생존을 담보할 수 없다는 절박한 판단에서다.

태광산업은 올해와 내년에 총 1조5000억원 가량을 투입하는 ‘투자 로드맵’을 설정했다고 13일 밝혔다. 투자계획이 예정대로 실행되면 올해에만 연말까지 1조원 가량을 집행하게 된다. 태광산업은 이 자금의 상당 부분을 화장품·에너지·부동산개발 관련 기업 인수에 투입할 방침이다.

이미 투자 자회사를 설립해 뷰티 관련 기업 등에 대한 투자를 추진 중이며, 관심 업종의 신규 법인 설립도 진행하고 있다. 오는 31일 임시주주총회에서는 정관을 개정해 사업 목적을 대폭 확대할 예정이다. 새로 추가되는 사업 목적에는 화장품 제조·매매, 에너지 관련 사업, 부동산 개발, 호텔·리조트 등 숙박시설 개발·운영, 리츠와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PFV) 투자, 블록체인 기반 금융 연관 산업 등이 포함된다.

문제는 자금 조달이다. 5월 말 기준 태광산업이 보유한 현금성 자금은 1조9000억원에 달하지만, 실제 신규 사업에 투자할 수 있는 자금은 1조원 미만으로 추산된다. 기존 석유화학 및 섬유 부문에 5000억원 이상의 투자가 필요하고, 업황 악화에 대비한 3.5개월치 예비운영자금 5600억원도 의무적으로 보유해야 하기 때문이다.

여기에 석유화학 2공장과 저융점섬유(LMF) 공장이 가동을 중단하면서 시설 철거와 인력 재배치에도 상당한 자금이 소요된다. 일부 나일론 생산공장과 중국 스판덱스 공장도 조만간 가동 중단이 불가피한 상황이어서 추가적인 예비운영자금 확보가 필요하다.

이에 태광산업은 외부 자금 조달을 적극 모색하고 있다. 내달 교환사채 발행을 통해 조달하는 3186억원도 사업구조 재편에 투입할 예정이다.

태광산업의 실적 악화는 심각한 수준이다. 매출은 2022년 2조6066억원에서 지난해 2조1218억원으로 줄었고, 영업손익은 3년 연속 적자를 기록했다. 석유화학 업종의 지속적인 불황이 주요 원인이다.

태광산업 관계자는 “내년까지 집행할 투자 규모는 현재 보유 중인 투자가용자금을 크게 초과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사업구조 재편을 통한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서는 ‘올인’ 수준의 투자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 정부의 정책을 반영해 자사주를 소각하고 이를 통해 주식가치를 높이는 일도 중요하지만 지금은 적극적인 투자와 사업재편을 통해 생존 방안을 마련해야 할 때”라며 “교환사채 발행을 통한 투자자금 확보는 회사의 존립과 직원들의 고용안정을 위해 꼭 필요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강주현 기자 kangju07@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산업부
강주현 기자
kangju07@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