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경제=이승윤 기자] 법무부가 1일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첫 검찰 고위 간부 인사를 기습적으로 단행했다.
전국 최대 규모의 검찰청인 서울중앙지검의 수장은 정진우 서울북부지검장이 맡는다.
그동안 ‘내부고발자’를 자처하며 검찰 개혁을 주장해온 임은정 대구지검 부장검사가 검사장으로 승진해 서울동부지검장에 기용된 점도 주목된다.
![]() |
(왼쪽부터) 노만석 대검 마약ㆍ조직범죄부장, 정진우 서울북부지검장, 임은정 대구지검 부장검사/ 사진: 연합뉴스 |
법무부는 이날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해 대검찰청 검사급(고검장ㆍ검사장) 검찰 고위간부 승진ㆍ전보 인사를 오는 4일자로 단행했다.
검찰 ‘2인자’로 고검장급인 대검찰청 차장검사에는 노만석 대검 마약ㆍ조직범죄부장이 기용됐다.
‘여의도 저승사자’라 불리는 금융ㆍ증권범죄합동수사단이 부활한 이후 굵직한 수사로 주목받는 서울남부지검장에는 문재인 정부 시절 법무부 검찰과장을 지낸 김태훈 서울고검 검사가 승진 발령됐다.
법무부 장ㆍ차관을 보좌해 정책을 총괄하는 기획조정실장에는 최지석 서울고검 감찰부장이, 검찰 인사ㆍ조직ㆍ예산을 총괄하는 법무부 검찰국장에는 성상헌 대전지검장이 각각 보임됐다.
법무부는 “새 정부 출범에 따라 분위기를 일신하고 국정 기조에 부합하는 법무행정을 실현하기 위해 실시했다”고 인사 배경을 설명했다.
이날 인사는 심우정 검찰총장의 사직 입장문 발표 직후 단행됐다. 앞서 전날 이진수 신임 법무부 차관은 취임 직후 사법연수원 28기 이상인 일부 고검장ㆍ지검장들에게 전보 조치를 예고하는 전화를 돌린 것으로 알려졌다.
심 총장은 이날 오후 입장문을 통해 “여러 상황을 고려했을 때 지금 직을 내려놓는 게 마지막 책임을 다하는 것이라고 판단했다”고 밝혔다.
그는 “형사사법제도는 국민 전체의 생명, 신체, 재산 등 기본권과 직결된 문제로, 시한과 결론을 정해놓고 추진될 경우 예상하지 못한 많은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며 “학계, 실무계 전문가 등 다양한 의견을 충분히 듣고 심도깊은 논의를 거쳐 국민을 위한 형사사법제도가 만들어져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이 사의를 받아들일 경우 심 총장은 1988년 검찰총장 임기제 시행 이후 취임한 25명의 검찰총장 가운데 2년 임기를 채우지 못한 16번째 검찰 수장으로 기록된다. 심 총장은 윤석열 정부 시절인 지난해 9월 검찰총장에 올랐다.
게다가 이진동 대검 차장검사를 비롯해 신응석 서울남부지검장, 양석조 서울동부지검장, 변필건 법무부 기획조정실장 등 다른 검찰 고위 간부들의 사의 표명도 이어졌다.
이승윤 기자 leesy@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