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단독] 신한종합건설 법정관리 신청…‘7월 위기설’ 신호탄?
페이스북 트위터 네이버
기사입력 2025-07-03 17:20:16   폰트크기 변경      
PF 사업장 미분양 직격탄…건설업 각종 지표 악화로 위기감 고조


[대한경제=백경민 기자] 경기도의 중견 건설사인 신한종합건설이 유동성 위기를 넘지 못하고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올 상반기 신동아건설을 비롯해 10여개 건설사가 법정관리를 신청한 데 이어 하반기 접어들자마자 신한종합건설이 무너져 건설업계에 나돌았던 ‘7월 위기설’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3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지난 2일 경기권역에 연고를 둔 신한종합건설이 서울회생법원에 법정관리를 신청한 것으로 확인됐다.

신한종합건설은 지난해 시공능력평가액 1273억원으로, 경기권역 43위의 건설사다. 전국 순위는 206위다.

공공 공사 주력의 내실 있는 건설사로 평가받았지만, 최근 민간분야로 사업을 확장하는 과정에 부침을 겪어 사세가 급격히 기운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사업장인 서울 신림동 주상복합단지와 경기 화성 지식산업센터 등 미분양 여파로 직격탄을 맞았다. 이들 사업장 모두 준공했지만, 그 사이 공사비가 워낙 오른 데다 미분양이 남아 투입 자금을 회수하지 못해 상당한 부담으로 작용했다.

실제로 신한종합건설의 재무 지표는 악화일로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신한종합건설의 지난해 영업손실액(연결 기준)은 186억원으로, 전년(127억원) 대비 큰 폭으로 늘었다.

이는 현금흐름에도 악영향을 끼쳤다.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적자분은 같은 기간 81억원에서 234억원으로 크게 악화됐다. 이는 현금유출이 유입보다 많아 유동성에 상당한 부담을 안고 있다는 의미다.

신한종합건설 관계자는 “PF 사업장 미분양 여파가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며 “어려운 여건에도 책임 준공을 위해 노력했지만, 시장 상황이 워낙 나빠 불가피한 측면이 크다”고 밝혔다.

시장 안팎에서는 신한종합건설의 법정관리 신청이 ‘7월 위기설’의 신호탄이란 우려도 나온다. 현재 건설산업을 둘러싼 각종 지표의 악화세가 뚜렷하다. 올 1분기 건설공사 계약액이 1년 전보다 3조원가량 줄어든 데 이어 연간 국내 건설투자 전망도 먹구름이 가득하다. 내수 부진과 원자재값 및 인건비 상승 등의 여파로 민간 건설경기가 되살아날 기미도 보이지 않는다. 또 주택 3대 지표로 꼽히는 인허가와 착공, 준공도 일제히 하락해 불황의 늪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상황이다.

일각에서는 대형 건설사와 지방의 중소 건설사 간 양극화가 더 두드러질 수밖에 없다는 진단이 나온다. 대형사들은 재무 지표가 악화되지만 도시정비 등에서 꾸준히 수주 잔고를 늘려 실적 개선을 꾀하는 반면 지역사들은 그만한 체력이 없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건설경기 침체 국면이 나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는 데다 대내외적 환경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 ‘7월 위기설’을 불러 일으킨다”며 “이런 상황이 지속되면 결국 지방 중소 건설사들의 위기감은 더 고조될 것”이라고 밝혔다.

백경민 기자 wiss@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

프로필 이미지
건설산업부
백경민 기자
wiss@dnews.co.kr
▶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대한경제i' 앱을 다운받으시면
     - 종이신문을 스마트폰과 PC로보실 수 있습니다.
     - 명품 컨텐츠가 '내손안에' 대한경제i
법률라운지
사회
로딩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