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이미지투데이. |
[대한경제=김봉정 기자] 정부가 수도권에서 6억원 초과 주택담보대출을 제한하는 고강도 규제에 나서면서 지방을 중심으로 영업하고 기업대출 비중이 높은 지방은행은 규제 영향이 비교적 적을 것이란 분석이 일각에서 제기됐다.
지방은행도 수도권 주담대를 일부 취급하고 있지만, 여신 구조상 시중은행보다 고가 주택을 대상으로 한 6억원 초과 대출 비중이 크지 않아 직접적인 타격은 제한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다만 전체 대출에서 가계대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적지 않은 데다, 수도권 규제로 인한 부동산 심리 위축이 지방까지 번질 경우 여신 수요 감소와 지역경기 악화로 자산건전성 부담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DART)에 따르면 부산·경남·전북·광주 등 주요 지방은행 4곳의 원화대출금 가운데 기업대출 평균 비중은 60.89%, 가계대출은 32.32%, 나머지 6.79%는 공공 및 기타 자금대출로 집계됐다.
인터넷은행의 가계대출 비중은 90%를 웃돌고 4대 시중은행도 기업대출 비중이 절반 수준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지방은행의 가계대출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다.
그러나 전체 여신의 3분의 1 이상을 차지하는 만큼 규제 영향에서 완전히 벗어났다고 보긴 어렵다는 평가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27일, 수도권과 규제지역 내에서 6억원 초과 주담대를 금지하고, 다주택자에 대한 대출 차단과 전입 의무 부과, 규제지역 추가 검토 등을 포함한 고강도 수요 억제책을 시행했다.
이대기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시중은행도 지방에서 영업하고 지방은행도 수도권에서 대출을 내줄 수 있지만 지방은행의 여신 구조는 대부분 지역 거점 중심”이라며 “지방은행이 6억원을 초과하는 주담대를 많이 취급했을 가능성은 낮아 이번 규제의 직접적인 영향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을 수 있다”고 전했다.
문제는 이 같은 규제가 수도권에 국한됐음에도 전국적인 부동산 심리 위축으로 이어질 가능성이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이 크게 오르며 전국적으로 부동산 심리를 자극했지만 이번 규제로 그 흐름이 차단됐다”며 “안 그래도 주택 경기가 좋지 않았던 지방은 더욱 위축되는 양극화가 나타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수도권에서 지방으로 전이될 수 있었던 수요나 흐름까지 막히면서 지방 부동산이 더 위축되고 결국 소비심리와 주택 수요가 줄어들어 지방은행의 여신에도 타격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지방 부동산 시장이 위축될 경우 가계대출을 포함한 전체 여신 수요가 줄고 지방은행의 수익성과 자산건전성에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지방은행들은 중소기업·자영업자 중심의 경기 민감도가 높은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어 주택 거래 둔화와 지역경기 부진이 맞물릴 경우 건전성 악화 가능성이 더욱 커진다.
실제로 광주은행의 경우 올 1분기 말 기준 전체 점포 120개 중 103개가 광주·전남 지역에 집중돼 있으며 이 지역에서 예수금 29.8%, 대출금 19.3%의 시장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경남은행도 경남 지역에서 여신 기준 23.84%, 수신 기준 29.57% 내외의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어 지역경기와의 연동성이 크다.
지방은행의 올 1분기 순이익도 3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7.7% 줄었고, 대손비용은 같은 기간 73.6% 급증하면서 지역 기반 대출 포트폴리오의 신용리스크 확대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게다가 전 금융권에서 가계대출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시중은행들이 기업대출 유치에 적극 나서게 되면 지방은행의 기존 고객 기반이 위협받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시중은행이 자금 운용처를 지방 기업까지 넓히게 되면 지방은행 입장에서는 침투 압박을 받을 수밖에 없다”며 “생존을 위해 기업대출을 둘러싼 경쟁이 전보다 치열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봉정 기자 space02@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