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안전 산업, 세계화로 급성장
AI 등 디지털 발전으로 성장 가속
안전사고 땐 브랜드 가치도 '뚝'
![]() |
8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이광원 고려대학교 식품공학과 교수가 국내 식품산업 안전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네오젠코리아 |
[대한경제=오진주 기자] “식품안전 분야는 기업의 생존 가능성을 결정하는 필수 요소가 될 것입니다.”
8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네오젠코리아 기자간담회에서 이광원 고려대학교 식품공학과 교수(한국식품안전연구원장)는 지금은 한국이 글로벌 식품안전 표준을 주도할 ‘골든 타임’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네오젠코리아가 한국 법인 설립 3주년을 맞아 연 이번 간담회에서는 식품안전 분야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됐다.
1982년 미국에서 설립된 네오젠은 2022년 미국의 글로벌 제조기업 쓰리엠(3M)의 식품안전사업부를 인수한 뒤 한국지사인 네오젠코리아를 설립했다. 현재 전세계 140여개 국가에서 수출입에 필요한 미생물·식중독균·약물 검사 등 동·식물 안전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식품안전 산업 분야는 세계화 속도와 함께 급성장했다. ‘맛’만 중요하게 여겼던 소비자들이 건강을 우선시하면서 그 규모는 더 커졌다.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등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식품안전 분야의 성장 속도를 더 가속화시켰다.
그중에서도 식품 관련 기업들에게 한국 시장이 중요한 건 K푸드 때문이다. 네오젠코리아에 따르면 2022년 국내 식품 제조업체는 4만여개에 달한다. 이 가운데 약 70%가 수출하는 기업이다.
![]() |
손병익 네오젠 아시아ㆍ태평양 총괄 부사장이 네오젠의 솔루션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네오젠코리아 |
이에 네오젠코리아는 한국이 글로벌 식품안전 분야에서 중요한 플레이어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손병익 네오젠 아시아ㆍ태평양 총괄 부사장은 “한국은 식품안전 표준을 시도해볼 수 있는 테스트베드일뿐만 아니라 네오젠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기회의 장”이라며 “네오젠이 아시아·태평양 본부를 싱가포르나 홍콩이 아닌 한국에 세운 이유”라고 설명했다.
수출하는 기업에게도 안전관리는 비용적인 측면에서 간과할 수 없는 문제다. 이 교수의 조사에 따르면 안전사고가 일어난 뒤에 대응하는 비용은 예방에 투자하는 비용보다 5배나 많다. 매출 100억원 이하의 중소기업의 경우 사고가 일어난 뒤 제품을 리콜할 때 드는 비용은 직·간접 비용 모두 합쳐 최대 15억원에 달한다. 매출 1000억원 이상의 대기업은 600억원가량 든다. 이 교수는 “안전사고가 일어나면 기업의 브랜드 가치는 최대 30%까지 하락하고, 신뢰를 회복하는 데는 평균 2~3년이 걸린다”며 “장기적으로는 브랜드가 손상된다”고 주장했다.
문제는 한국은 전통 식품과 현대 기술의 조합이 아직 부족하다는 점이다. 한국의 전통 식품은 발효를 기반으로 하는데, 아직 현대 기술은 이 과정에서 오염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한다. 실제 지난해 전국 학교에서 800명이 넘는 환자가 발생한 식중독의 원인으로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김치가 지목됐다. 이 교수는 “전통의 발효 기술과 현재를 이을 수 있는 기술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다행히 최근 푸드테크 분야가 발전하고 있는 만큼 업계에선 이를 이용하면 한국이 글로벌 표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이 교수는 “QR코드 하나로 농장에서 식탁까지 이력을 추적할 수 있고, 소비자는 맞춤형 식품 정보를 찾을 수 있게 되면서 소비자의 불안은 많이 해소됐다”며 “이제 중소기업은 안전관리를 AI 시스템으로 단계적으로 전환하고, 대기업은 선도적으로 연구개발(R&D)에 투자하며 글로벌 기준을 선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오진주 기자 ohpearl@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