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재명 대통령[대통령실 제공] |
[대한경제=강성규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제1회 방위산업의날을 맞아 “방산 4대 강국이라는 목표 달성을 이끌 방산 육성 컨트롤타워를 신설하라”고 지시했다. ‘방산 수출 진흥 전략 회의’의 정례화도 검토한다.
이 대통령은 8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방위산업은 경제의 새 성장 동력이자 우리 국방력의 든든한 근간”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방위산업의 날은 방산의 중요성을 국민에게 알리고 업계 종사자들의 자부심을 고취하기 위해 2023년 국가기념일로 지정된 날이다.
이 대통령은 “6ㆍ25전쟁 당시에는 탱크 한 대도 없던 대한민국이었는데, 75년 만에 세계 10위의 방산 대국으로 성장했다”며 “최근엔 폴란드와 9조원 규모의 K-2 전차 수출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인재 양성과 연구개발 투자, 해외 판로 확대 등 범부처 차원의 노력을 주문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방위산업의 날 토론회에서는 방산 4대 강국 실현을 위한 방안들을 제시하기도 했다.
우선 안보 환경 변화에 맞춘 ‘K-방산’ 제품의 경쟁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빛의 속도로 변하는 전장에서 인공지능이나 무인 로봇과 같은 경쟁력 있는 무기체계를 개발하고 발전시켜야 될 것 같다”며 “이를 위해 우리 정부가 할 수 있는 역할들을 찾아보겠다”고 밝혔다.
대기업 중심의 방산 영역에 규모와 관계없이 다양한 기업들이 참여할 수 있도록 방위산업 생태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방산 수출 영역에서는 특색이 있는데, 정부 간 협력이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는 것”이라며 “안보 협력을 정부 차원에서 잘 이뤄내 우리 방위산업에 종사하는 많은 분들 또는 기업들이 더 많은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날 회의는 기념일 지정과 함께 대통령 주재로 열린 첫 회의다. 방산 종사자, 정부 부처 관계자, 군 관계자, 안보 전문가 등 145명이 참석한 가운데 방산 발전 방안과 현장의 애로사항 등에 대해 토론했다.
이 대통령은 “대한민국은 분단국가이고, 여전히 전쟁이 진행 중이며 세계에서 군사 밀도가 가장 높은 위험한 나라”라며 “방산은 대한민국의 안보를 지키기 위한 산업”이라고 정의했다.
또 “지금까지는 내수 중심으로 성장해 왔다면 이제 그 역량을 인정받아 전 세계로 무기 체계를 수출하는 그런 나라가 됐다”며 “앞으로도 이런 흐름을 계속 이어가 방산이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 산업의 하나로 자리잡게 되기를 바란다”고 기대했다.
아울러 “우리 국민들의 일자리, 또 대한민국 위상을 세계에 알리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도 한다”며 “우리 정부가 좀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 투자ㆍ지원하고 세계적인 방위산업 강국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하려고 한다”고 독려했다.
강성규 기자 gga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