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영풍 석포제련소./사진: 영풍 제공 |
[대한경제=강주현 기자] 영풍이 11일 환경단체가 기자회견에서 “석포제련소가 낙동강 중금속 오염의 원인이며, 법적 책임을 져야한다”고 주장한 것과 관련해 사실과 맞지 않은 내용이라며 반박했다.
영풍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일부 단체의 일방적인 주장이 사실처럼 받아들여지며 오해가 확산되는 상황에 대해 깊은 우려를 표한다”며 “사실관계를 바로잡고, 환경개선을 위한 당사의 노력을 명확히 밝히고자 한다”고 밝혔다.
영풍에 따르면 지난 3월 환경단체 소속으로 추정되는 민원인이 석포제련소 관련 고충민원을 제기했다. 석포제련소가 야기한 토양ㆍ수질 오염의 책임 규명을 촉구한 것이다. 영풍은 고충민원 내용이 사실과 부합하지 않는다는 점을 설명하고, 관련 증빙서류를 제출했다. 이후 권익위는 기본적이고 원칙적인 의견을 표명했다는 게 영풍의 설명이다.
문제는 권익위의 의견 표명을 근거로 낙동강 상류 환경피해 주민대책위원회와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낙동강ㆍ석포제련소 TF가 기자회견에서 석포제련소의 법적 책임을 지적했다는 점이다. 이들은 손해배상청구 소송 계획도 밝혔다.
영풍 관계자는 “이들 단체는 기자회견에서 지금도 석포제련소 인근 하천이 카드뮴으로 오염된 것처럼 묘사했으나, 이는 사실이 아니다”며 “금일 기자회견의 근거 구축을 위해 권익위를 활용한 것 아닌가 하는 오해를 사기에 충분한 일련의 행위를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영풍 석포제련소는 1970년대 당시 정부의 중화학 공업 육성정책에 따라 봉화군 낙동강 상류에 설립됐다. 환경보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이 미비했던 당시 설립됐지만, 이후 사회적 인식 변화로 영풍은 환경오염 방지에 전사 차원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수를 전량 정화한 후 100% 공정에 재사용하는 폐수 무방류 시스템(ZLD, Zero Liquid Discharge)을 도입한 게 대표적이다. 오염지하수 차단시설도 설치해 오염된 지하수가 낙동강 수계로 유출되지 않도록 원천 차단하고 있다.
환경혁신에 나선 후 석포제련소 주변 환경지표는 크게 개선됐으며, 폐수 무방류 시스템 도입 및 오염지하수 확산방지시설 설치 후에는 석포제련소 주변 낙동강에서 카드뮴이 검출되지 않았다. 현재 석포제련소는 외부 의견수렴을 위해 객관적이고 전문적인 위원들로 구성된 ‘모니터링 위원회’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으며, 낙동강 상류 환경피해 주민 대책위원회도 해당 위원회에 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영풍은 “석포제련소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우려가 있음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를 해소하고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 보다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며 “사실에 부합하지 않은 근거 없는 비방은 오히려 환경개선이라는 근본적인 목적 달성을 저해하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앞으로도 지역 사회와 지속적인 대화와 협력을 바탕으로 낙동강 유역의 환경이 보다 건강하게 지켜질 수 있도록 모든 노력을 다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강주현 기자 kangju07@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