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3월 경북 안동시 임하면 개호송 숲 일부가 산불에 피해를 본 가운데 수목치료업체에서 까맣게 탄 소나무를 세척하고 있다. /사진: 연합 |
[대한경제=최지희 기자] 국내 산불 소실 면적 중 최대 규모를 기록한 ‘경북 산불’사태의 피해목이 국내 주요 공공 건축물의 주요 구조용 제재목으로 탈바꿈한다.
14일 산림청은 지난 3월 말 발생한 경북 산불에 따른 피해목 중 건축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소나무 등 고품질 목재를 제재목으로 가공해 공공부문 목조건축 사업에 활용한다고 밝혔다.
적용 대상은 우선 산림청 국고보조 사업으로 추진하는 △서울특별시 국립목재문화체험장 △경기도 광주시 목재교육종합센터 △충청북도 충주시 목재문화관 △충청북도 제천시 월악산 관광안내센터 등 4곳이다.
현재 산림청이 추정하는 피해목 규모는 최소 600만㎥ 이상으로, 우리나라 한 해 평균 벌채량(약 500만㎥)을 훌쩍 뛰어넘는 수준이다. 이에 산림청은 지난 4월부터 피해 지역 지자체와 관련 학계, 29개 목재 산업 관련 단체와 피해목을 고부가가치 자재로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해왔다.
특히 부가가치가 높은 공공부문 목조건축 사업에 우선 이용하고자 민간 수요처를 발굴해 산불 피해 산주들에 직접 연결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산림청은 “칩과 팰릿 등 연료용으로 활용하기보다는, 구조용 제재목ㆍ집성목, 보드류 등으로 활용하는 것이 경제적 가치가 크다고 판단한다”라며, “피해 원목으로 등급별로 선별해 벌채 우선순위를 만들고, 건축 자재로 활용할 수 있는 규모가 얼마나 될지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산림청은 역대 최대 규모로 발생한 피해목 저장 및 가공을 위해 산불 피해목의 신속한 이용을 위해 올해는 충북 제천시에 위치한 국산목재협동조합에서 가공하고, 내년부터는 현재 조성 중인 경상권 목재자원화센터(경북 포항)에서 산불 피해목을 가공ㆍ이용할 계획을 세웠다. 추가로 4개 권역별 전용 피해목 저장센터를 마련하고자 내년도 예산 반영을 위한 기획재정부 심의도 요청한 상태다.
박은식 산림청 산림산업정책국장은 “올해 발생한 대형산불 피해지역에서 피해목 제거사업을 신속하게 추진하고 있다”며, “민간기업과 힘을 모아 산불 피해목의 자원가치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마련,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최지희 기자 jh606@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