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정부 초대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시작됐다. 어제(14일) 강선우 여성가족부,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정동영 통일부,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등 4명에 대한 청문회가 각 상임위원회별로 진행됐다. 첫날부터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후보자들에게 결정적 하자는 없다며 엄호에 나섰고 제1야당인 국민의힘은 후보자 다수가 부적격이라며 낙마 공세를 펼쳤다. 특히 후보자들이 자료를 제대로 제출하지 않은데다 채택된 증인도 거의 없어 ‘맹탕청문회’조짐도 보였다. 여야는 인사청문 정국 기간 내내 양보없는 ‘강대강’ 대치를 이어갈 전망이다.
첫날엔 갑질 의혹을 받아온 강 후보자에게 관심이 집중됐다. 회의 초반 강 후보자가 “상처 받았을 보좌진들에게 사과드린다”고 밝혔지만 국민의힘은 의혹을 추궁하며 강 후보자의 자진 사퇴와 임명 철회를 주장했다. 반면 민주당은 “어느 한 사람의 삶을 한 두 가지 잣대로 재단할 수 있냐”며 강 후보자를 두둔하는데 집중했다. 타 위원회에서도 산회를 선포하거나 정회하는 등 청문회 초반부터 잡음이 일었다. 배경훈 과기부 장관 후보자를 검증해야 할 과방위는 국민의힘 의원들이 노트북에 ‘최민희 독재 아웃, 이재명 협치하라’는 문구를 쓴 팻말을 붙이자 회의 개의도 안했는데 산회가 선포되는 촌극이 빚어지기도 했다.
청문회 과정에서 논란이 불거지더라도 거대 여당인 민주당이 청문보고서를 단독으로 채택할 수 있다. 더구나 장관은 보고서 채택없이도 대통령이 임명할 수 있다. 다만 김민석 국무총리 인준안 단독 처리에 이어 장관 후보자들의 청문보고서까지 여당이 일방 채택할 경우 독주 논란은 피하기 어렵다. 특히 부정 여론이 확산돼 청문회 정국 마무리 전까지 주요 의혹이 해소되지 않으면 여권으로서도 부담이 커질 것이다. 대통령 책임론까지 제기될 가능성이 있다. 해답은 국민 눈높이에서 바라보면 나온다.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