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가 15일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위원 질의에 답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
[대한경제=김광호 기자] 여야는 이재명 정부의 초대 장관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 슈퍼위크 이틀째인 15일에도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 안규백 국방부 장관 후보자 등의 자질과 역량 문제를 놓고 공방을 이어갔다.
국회는 이날 오전부터 권오을 보훈부 장관 후보자, 안규백 국방부 장관 후보자,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 임광현 국세청장 후보자 등에 대한 인사청문회를 소관 상임위원회별로 진행했다.
권오을 후보자 청문회에서는 부실한 자료 제출과 ‘겹치기 근무’ 의혹에 대한 야당의 질타가 이어졌다.
김상훈 국민의힘 의원은 “2023∼2024년 여러 법인에서 급여를 받았지만 실질적인 근로 정황이 없다”며 “관련 자료도 제출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전직 국회의원의 갑질 행태”라며 “배우자 역시 같은 방식으로 활동한 정황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권 후보자는 “배우자는 실제로 마포 사무실에서 근무했고, 안동 건설사에서는 홍보ㆍ영업 등에 실제 역할을 했다”고 해명했다.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비상근 근무는 근로시간이나 장소, 방식의 전형이 없다”며 “법원 판례도 겸직을 금지하지 않는다”고 권 후보자를 적극 엄호했다.
안규백 후보자 청문회에서는 군 복무 경력을 놓고 여야 간 공방이 펼쳐졌다. 강선영 국민의힘 의원은 “공교롭게도 대통령과 총리는 군에 안갔다 왔고 장관 후보자는 방위병 출신”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정청래 민주당 의원은 “국가 안보의 최대 위협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기도와 내란 행위”라며 “그런 당의 국민의힘이 방위병 출신을 운운하는 것은 납득할 수 없다”고 맞섰다. 그러면서 “민간인 출신 국방장관의 등장은 역사적으로도 의미 있는 일”이라고 평가했다.
여야는 임광현 후보자 청문회에서는 ‘전관예우 논란’과 관련한 자료 제출을 두고 신경전을 벌였다. 한성숙 후보자 청문회에서는 한 후보자가 네이버 대표였을 때 발생한 ‘직장 내 괴롭힘 사건’에 대한 책임을 묻고자 채택한 증인이 불출석하면서 소란이 일기도 했다.
한편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는 이날 전체회의를 열어 전날 청문회를 진행한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의 인사청문경과보고서를 여야 합의로 채택했다.
김광호 기자 kkangho1@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