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주부터 쏟아진 폭우로 도로 침수와 토사유실, 하천시설 붕괴 등 공공시설 피해가 1920건, 건축물ㆍ농경지 침수 등 사유시설 피해가 2234건으로 잠정 집계됐다. 14명이 숨지고 12명이 실종되는 등 인명 피해도 잇달았다.(20일 오전 11시 현재) 다행히 준설과 제방보강이 이뤄진 4대강 본류 주변은 큰 피해가 없었다. 해마다 홍수로 인명과 침수 피해가 발생하는 등 재난이 되풀이되고 있다. 과거 강수량을 기준으로 설계된 제방과 배수ㆍ저류 시설 등이 기후변화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지금 추세라면 이런 피해는 훨씬 잦아질 게 분명하다.
극단적 이상기후는 ‘온난화’가 원인으로 꼽힌다. 온난화는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아졌기 때문에 발생한다. 경제 활동이 활발해질수록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늘어날 수 밖에 없다. 공기 중에 이산화탄소가 많아지면 대기가 뜨거워져 해수면 온도가 상승하고 바다에서 증발하는 수증기량도 늘어난다. 올해 7월 들어 40도 폭염 뒤에 400㎜ 폭우가 내린 것도 이 때문이다. 지난 17일 충남 서산에 시간당 최대 114.9㎜(누적 438.8㎜)의 비가 쏟아졌다. 100년에 한 번 정도 찾아왔던 ‘시간당 100㎜ 이상’의 극한 호우가 최근에는 매년 나타나는 ‘뉴 노멀’이 된 것이다.
집중 호우 피해는 급증하고 있는데 행정 당국의 대응은 굼뜨기만 하다. 우선은 재난 대응 예ㆍ경보 시스템을 더욱 정교하게 다듬어야 한다. 산사태 및 침수 위험이 높은 지역에 대한 시설 점검과 관리도 강화해야 한다. 문제는 시간당 100㎜ 이상의 비가 쏱아지는데 반해 하수도는 70㎜를 기준으로 설계ㆍ시공됐다는 점이다. 하수도 뿐만 아니라 재난 대응 인프라 대부분이 이럴 것이다. 급변하는 기후 환경에 맞춰 도로ㆍ하천 등의 SOC 설계 기준을 재정립하는 게 시급하다. 재해엔 좀 과하다 싶을 정도로 대응해도 괜찮다.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