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SDS 2024년 상반기와 2025년 상반기 실적 비교 /표:삼성SDS |
[대한경제=심화영 기자] 삼성SDS가 본격적인 실적 ‘턴업(Turn-up)’ 국면에 진입했다. 올해 2분기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하며, 수익성 중심의 성장세가 확실히 자리 잡는 모습이다. 클라우드와 AI 기반 IT서비스, 디지털 물류 등 미래 핵심사업이 성장의 주축이다.
삼성SDS는 24일 올해 2분기 매출 3조5120억원, 영업이익 2302억 원의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2% 증가한 수치다.
턴업의 핵심은 클라우드다. 2분기 클라우드 매출은 전년보다 20% 증가한 6,652억 원, 이 중 삼성 클라우드 플랫폼(SCP)을 기반으로 한 CSP 사업은 26% 고성장을 기록했다. 공공 부문 클라우드 수요 확대와 고성능 컴퓨팅(HPC), 네트워크 서비스 강화가 성장을 견인했다.
클라우드 운영ㆍ관리 영역인 MSP 사업도 호조를 보였다. 공공기관 클라우드 전환 확대, 생성형 AI 서비스 수주, 글로벌 SCM·CRM 구축 확대가 맞물리며 2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IT서비스 전체 매출은 1조6784억 원으로 전년 대비 5.8% 증가, 클라우드와 AI 기반 서비스가 수익성 중심의 체질 개선을 이끌고 있다.
디지털 물류 부문 역시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했다. 미국의 관세 이슈로 물동량이 일시 감소했지만, 창고 물류 신규 고객 확보에 힘입어 매출은 1조8336억 원(전년 대비 3% 증가)을 기록했다. 디지털 물류 플랫폼 ‘첼로스퀘어(Cello Square)’ 매출은 2701억원, 가입 고객은 전년 대비 48% 증가한 2만1900개사로 플랫폼 경쟁력도 강화됐다.
삼성SDS는 2024년 대비 매출과 이익이 동반 성장하며 상반기 전체로도 뚜렷한 턴업 흐름을 보였다. 클라우드와 AI 기반 IT서비스, 디지털 물류 등 전략 분야의 집중 투자가 효과를 내기 시작하면서, '질적 성장'의 기반이 다져지고 있다는 평가다.
삼성SDS 관계자는 “불확실한 경제 환경 속에서도 핵심 사업 중심의 수익 구조 개선이 가시화되고 있다”면서 “하반기에도 클라우드와 생성형 AI, 디지털 물류 등에서 고성장을 이어가며 본격적인 실적 반등을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심화영 기자 dorothy@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