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개포우성7차 재건축 사업에 제시한 스카이 커뮤니티. /사진:삼성물산 건설부문 제공 |
[대한경제=이종무 기자] 서울 개포우성7차 재건축 사업 시공권을 노리고 있는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기존 스카이 브릿지 대신 랜드마크 2개동 최상층에 스카이 커뮤니티시설을 적용한다. 시 인허가 기준을 ‘100% 충족’하는 설계로 지연 없는 신속한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삼성물산은 개포우성7차 재건축 조합에 2개의 랜드마크 주거동 최상층에 스카이 커뮤니티 도입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설계안을 제시했다고 24일 밝혔다. 기존 스카이 브릿지 대신 활용도가 높고 상징성을 갖춘 공간을 만들겠다는 설명이다.
일반적으로 재개발ㆍ재건축 사업에서 조합의 비용 부담을 줄이고 사업성을 높이기 위해 시공사의 대안설계 제안을 허용하고 있다. 여기에 서울시는 시공자 선정 기준 등 법적ㆍ행정적 요건을 엄격히 따르도록 규정하고 있다. 과도한 경쟁으로 무분별한 설계안을 제시하거나 사업 지연 등 부작용을 막기 위해서다.
삼성물산은 내부 논의 끝에 인허가 등으로 사업 지연을 초래할 수 있는 불안 요소를 원천 차단하고 사업성과 상징성을 높이는 설계안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개포우성7차 정비계획에 스카이 브릿지 설치에 대한 언급이 없고, 최근 시에서 조화로운 도심 경관을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는 스카이 브릿지에 대한 심의를 엄격한 잣대로 진행하는 추세를 반영했다”고 말했다.
![]() |
삼성물산 건설부문이 개포우성7차 재건축 사업에 제시한 스카이 커뮤니티. /사진:삼성물산 건설부문 제공 |
이와 함께 삼성물산은 개포우성7차 정비계획에 맞춰 단지 외곽은 10층 이하 저층으로, 단지 중심으로 갈수록 29~35층 고층의 구조를 갖추도록 했다. 또 영희초, 중동고 등 단지 인근 학교의 일조권 보호를 위해 인공지능(AI) 시뮬레이션을 진행하고, 2시간 이상 연속 일조 시간을 확보하는 관련 법률도 100% 준수했다는 설명이다.
생태 환경 측면에서도 생태 면적률(대지 면적의 45% 이상)과 자연 지반 녹지(생태 면적률의 40% 이상)를 기준 이상으로 확보해, 향후 환경영향평가를 고려한 사전 대응 설계로 사업 리스크를 원천 차단했다고 했다.
이밖에 허용 용적률 인센티브 17% 준수, 임대 156가구 확보, 연결 녹지 용도 유지 등 시 정비계획 고시 내용을 준수한 설계를 제안해, 별도 설계 변경이나 추가 인허가 과정 없이 사업을 바로 추진할 수 있는 조건을 갖췄다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김명석 삼성물산 주택사업본부장(부사장)은 “조합원에게 약속한 사업 조건은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면서 “삼성물산의 수많은 인허가 경험과 기술력으로 신속하고 안정적인 사업을 실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종무 기자 jmlee@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