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드사 상반기 당기순이익./그래픽: 대한경제 제작 |
[대한경제=최장주 기자] 국내 주요 카드사들의 올해 상반기 실적이 대부분 부진을 면치 못하며 업계 전반에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가맹점 수수료율 인하와 경기 불황으로 인한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가 수익성을 크게 압박한 탓이다. 특히 상반기 당기순이익 총합이 1조원을 간신히 넘기며 전년 대비 두 자릿수 감소율을 기록했다.
28일 <대한경제>가 최근 각 사가 발표한 상반기 실적을 분석한 결과, 6개 카드사(KB국민·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카드)의 상반기 당기순이익 합계는 1조1152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동기(1조3622억원) 대비 2470억원(18.1%) 줄어든 규모다.
카드사별로 보면 삼성카드가 상반기 당기순이익 3356억원을 기록하며 업계 1위를 지켰지만, 전년 동기(3628억원) 대비 7.5% 감소했다. 카드 이용금액과 상품채권 잔고 증가로 영업수익은 늘었으나, 차입금 확대에 따른 비용과 대손비용 증가가 실적을 갉아먹었다. 2분기 순이익은 1512억원으로 1분기 대비 18.2% 줄었다.
신한카드는 상반기 당기순이익이 2466억원에 그쳐 전년 동기(3793억원) 대비 35% 급감했다. 대손충당금과 지급 이자 비용 상승 등이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2분기 순이익(1109억원)도 1분기(1357억원) 대비 줄었으며, 연체율은 1.5%로 전분기 대비 0.11%포인트(p) 하락했으나 전년 대비 0.06%p 악화됐다.
KB국민카드는 상반기 당기순이익 1813억원으로 전년 동기(2557억원) 대비 29.1% 줄었고, 하나카드는 1102억원(전년 1166억원, 5.5% 감소), 우리카드는 760억원(전년 840억원, 9.5% 감소)으로 모두 부진을 보였다.
반면 현대카드는 유일하게 상반기 당기순이익이 1655억원으로 전년 동기(1638억원) 대비 1.0% 증가하며 실적 개선을 이뤘다. 신용판매 취급액 확대와 회원수 증가가 주효했다.
카드업계 실적 부진의 가장 큰 이유는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다. 대손충당금은 회수 불가능한 채권 손실을 대비해 쌓아두는 자금이다. 최근에는 연체율이 대부분 안정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경기 불황 지속으로 인해 잠재적 부실 위험이 여전해 충당금을 지속적으로 쌓고 있다. 실제로 올해 상반기 6개 카드사의 대손비용 합계는 1조7230억원으로 전년 동기(1조5813억원) 대비 9% 상승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가맹점 수수료 인하와 경기침체가 겹치며 대손충당금 부담이 커지고 있다”며 “하반기에도 대출 규제 강화와 불확실한 경제 환경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아 실적 반등이 쉽지 않을 전망”이라고 말했다.
최장주 기자 cjj323@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