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 이어 “전품목에 15% 일괄 적용”
EU, ‘미 에너지 1038조원 구매’ 약속
한국, 조선 등 패키지 협상카드 제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사진:백악관 홈페이지 |
[대한경제=조성아 기자]미국과 유럽연합(EU)이 27일(현지시간) 자동차와 모든 품목에 일괄적으로 15% 관세를 부과하는 관세 협상을 타결했다. 일본에 이어 EU도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마치면서 막판 협상 중인 우리 정부의 부담감이 커진 상황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스코틀랜드 턴베리에서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EU 집행위원장과 회담한 뒤 “EU로부터 수입되는 모든 품목에 대해 일괄적으로 15%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 아울러 미국으로 수출되는 EU산 자동차도 15% 관세율이 적용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과 EU는 항공기, 반도체 장비 등 일부 ‘전략적 품목’에 대해선 상호 무관세를 적용하기로 했다. 상호 무관세 조치는 EU가 미국 측에 요구해온 협상조건 중 하나다.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상호 무관세) 적용 대상에 더 많은 품목이 추가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철강, 알루미늄에 대한 50% 관세는 종전과 같이 유지된다.
다만 15% 관세의 적용 범위를 두고는 양측이 이견을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15% 관세 합의에 의약품은 포함되지 않는다고 선을 그었다.
반면 폰데어라이엔 집행위원장은 15% 관세율이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을 포함한 대부분 분야에 적용될 것”이라며 “향후 전 세계 의약품에 관한 전반적인 미국 대통령의 (관세) 결정이 무엇이건 간에 그것은 별개의 이야기”라고 했다.
15% 관세에 합의하면서 EU는 미국에 대규모 투자를 약속했다. 연간 2500억 달러씩, 향후 3년간 총 7500억 달러(약 1038조원) 규모의 미국산 에너지를 구매하기로 합의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더해 “EU가 6000억 달러(약 830조7000억원)를 추가 투자하기로 했으며 ‘막대한 규모’의 미국산 군사장비를 구매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앞서 미국과 일본도 상호관세를 25%에서 15%로 낮추는 내용의 관세 협상에 합의한 바 있다.
일본에 이어 EU도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 합의하면서 막바지 협상 중인 한국 정부는 부담이 더욱 커졌다. 우리나라 역시 25%로 예고된 상호관세를 15% 선까지 낮추는 것을 목표로, 일본ㆍEU와는 차별화된 카드를 협상 테이블에 제시한 상황이다.
특히 한국이 강점을 갖고 있는 조선을 비롯해 반도체, 배터리 등 전략산업 협력 강화, 가스ㆍ원유 등 에너지 수입 확대,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가스전 사업 참여 검토, 미국산 항공기 추가 구매 등을 패키지로 묶어 미국을 설득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위해 미국에 ‘마스가(MASGAㆍ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로 이름 붙인 수십조원 규모의 조선업 협력 프로젝트도 제안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지난 25일(현지시간) 뉴욕 하워드 러트닉 장관의 자택에서 진행된 한미 산업장관 협상에서 ‘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라는 뜻의 ‘마스카 프로젝트’를 핵심으로 한 우리 정부 차원의 한미 조선 산업 협력 구상을 미국 측에 설명했다. 이 프로젝트는 한국 민간 조선사들의 대규모 미국 현지 투자와 이를 뒷받침할 대출ㆍ보증 등 금융 지원을 포괄하는 패키지로 구성됐다.
구윤철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이 예고한 관세 부과 예정일을 하루 앞둔 오는 31일 스콧 베센트 미 재무부 장관과 최종 협상에 나설 예정이다. 두 사람은 지난 25일 양국 통상 분야 수장과 함께 ‘2+2 고위급 무역 회담’을 가질 예정이었지만, 베센트 장관이 갑작스런 ‘일정 충돌’을 이유로 회담을 연기한 바 있다.
조성아 기자 jsa@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