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ㆍ트렌드 등 7대 지표서 고득점
‘사람 중심 도시’ 정책 전국으로 확산
![]() |
스마트정책소통방에서 정원오 성동구청장 모습. / 사진 : 성동구 제공 |
[대한경제=박호수 기자] 정원오 서울 성동구청장이 ‘K-브랜드지수’ 서울시 지자체장 부문 1위에 이름을 올렸다.
‘K-브랜드지수’는 아시아브랜드연구소가 국내외 연구진과 협력해 개발한 빅데이터 기반 분석 시스템이다. 2025년 6월 한 달간 온라인상에서 수집한 약 2483만 건의 데이터를 분석해 각 분야 대표 브랜드를 추린다.
정 구청장은 이번 조사에서 트렌드(Trend), 미디어(Media), 소셜(Social), 긍정(Positive)ㆍ부정(Negative) 평가, 활성화(TA), 커뮤니티(Community) 등 7개 지표 전반에서 고르게 높은 점수를 얻으며 서울시 자치구 단체장 가운데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정원오 구청장은 서울에서 유일한 3선 구청장이자, ‘사람 중심 도시, 성동’을 기조로 한 현장형ㆍ소통형 행정의 대표 주자다.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정책, 스마트 포용도시 전략, 필수노동자 지원 정책, 효사랑 건강주치의, 15분 도시 구축, 어르신 통합돌봄정책 등 주민의 삶을 실질적으로 변화시키는 정책들을 추진해왔다.
이러한 정책들은 성동구에 국한되지 않고 전국적으로 확산되며 ‘따라 배우는 사례’로 자리 잡았다. 전국 기초지방정부의 정책 벤치마킹 대상이 된 이유다.
무엇보다 정 구청장의 행정을 특징짓는 건 ‘쌍방향 소통’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그는 평소 “주민의 목소리가 곧 정책의 시작”이라는 철학 아래 구청장과 대화의 날을 정례화하고, 본인의 휴대전화 번호를 공개해 문자로 민원을 직접 받고 있다.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통한 실시간 소통도 활발하다.
단순히 홍보를 넘어 이 같은 방식은 실제 정책 설계와 집행 구조 속에 녹아들며 주민 체감도를 높였다는 게 구의 분석이다. 지역 행정이 신뢰를 얻기까지 어떤 토대가 필요한지를 보여주는 사례로 꼽힌다.
정원오 구청장은 “이번 선정 결과는 개인만의 성과를 넘어 주민의 삶에 필요한 생활밀착 행정과 끊임없는 소통을 통해 주민과 함께 이뤄낸 결과”라며 “앞으로도 스마트기술과 사람, 복지와 지속가능성이 조화를 이루는 살기 좋은 도시를 만들어 성동구의 브랜드 가치를 더욱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박호수 기자 lake806@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