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탄2지구 단계별 도면. / 사진 : 화성시 제공 |
다올공원·왕배산체육공원 등 생활밀착형 시설 우선 인수 검토
정명근 시장 "시민 수요 높은 생활밀착형 시설… 조기 인수 적극 검토"
[대한경제=박범천 기자]화성특례시가 지난 7월 21일 동탄2지구 4단계가 준공됨에 따라 대규모 택지지구 기반시설 인수에 돌입했다고 1일 밝혔다.
동탄2지구 4단계 구간은 면적이 436만㎡에 달해 동탄2지구 전체 면적의 약 18%에 해당하는 대규모 구간으로, 시는 도시 기반 시설의 안정적 관리를 위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인수인계를 위해 지난달 28일 ‘동탄2지구 4단계 인수인계 TF팀’을 구성했다.
TF팀은 도로, 교통, 버스, 공원, 상하수, 하천, 녹지, U-CITY 등을 담당하는 15개 부서와 사업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 경기주택도시공사가 함께 구성돼 있다.
TF팀은 오는 12월 인수인계 완료를 목표로, 매월 정례회를 열어 각 시설별 문제점을 수집 및 분석해 사업 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와 경기주택공사에 개선을 요청하고, 부서별로 시설물 보완 조치 결과를 현장에서 점검한다.
또한, 시는 지역 주민들이 하루라도 빨리 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선별적 조기 인수를 추진할 방침이다.
시는 지난달 18일 진행된 동탄권역 정책설명회에서 제안된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해, 다올공원과 왕배산체육공원 등 시민 수요가 높은 생활밀착형 시설은 우선 인수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지난 2월부터는 기반시설 점검을 위한 전문 용역도 병행해 기반 시설의 품질을 확보하고 점검 기간을 단축하고 있다.
정명근 화성특례시장은 “이번 인수인계 구간은 동탄2지구 면적의 약 18%에 해당하는 넓은 지역인만큼 시민들의 생활 불편사항이 발생하지 않도록 기반시설을 철저히 점검하겠다”며 “시민 수요가 높은 생활밀착형 시설은 조기 인수를 적극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
![]() |
□ 화성시, 인구정책 기본계획 수립 연구 중간보고 개최
화성특례시가 지난 31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2025년 화성특례시 인구정책위원회·실무추진단 회의를 개최했다.
화성특례시 인구정책위원회는 정구원 화성특례시 제1부시장, 관련 실국소장, 시의원, 각종 분야의 인구정책 전문가 등 총 18명으로 구성돼 있으며, 화성특례시 인구정책 전반에 대한 심의와 자문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정책을 제안·발굴하고 있다.
화성시 인구정책 실무추진단은 인구정책 추진 부서 팀장 25명으로 구성돼 있으며, 주요 인구정책 추진 상황을 점검하고 신규 인구정책을 발굴 및 제안해 분야별 협업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는 위원회 및 실무추진단 등 4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화성특례시 인구정책 기본계획(2026~2030) 수립 연구’의 중간 성과를 공유하고 인구정책 추진과제 발굴 및 선정을 위한 자문 의견을 수렴했다.
시는 지난 3월 연구에 착수해 오는 12월까지 계획 수립을 마칠 계획으로, 이번 연구는 저출생·고령화에 따른 인구 구조 변화에 대응하고 화성특례시 105만 시민의 인구특성을 반영한 지속가능한 중장기 인구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추진됐다.
시는 인구구조, 현황 및 인구정책 추진 기반 등 각종 데이터를 면밀히 분석하고, 화성시 인구정책의 비전·목표 및 중장기 로드맵을 제시하고, 지속가능한 인구정책을 발굴·추진할 계획이다.
화성특례시는 2025년 인구정책으로 △아이 낳고 키우기 좋은 화성 △젊은 활기가 넘치는 화성 △노후가 든든한 화성 △자부심을 주는 화성 등 4개 정책 영역을 설정하고, 15개 부서, 29개 사업에 323억원을 투입해 추진하고 있다.
시는 출생 장려를 위해 ‘화성시 출산 지원에 관한 조례’를 개정해 2023년 1월부터 출산지원금 지원 대상과 지원 금액을 첫째 100만원, 둘째·셋째 200만원, 넷째 이상 300만원으로 확대했다.
이외에도 △다자녀 기준을 3자녀에서 2자녀로 완화 △임신·출산 부모교육 △산후조리비 지급 △예비 신혼부부 건강검진 지원 등 다양한 출산 장려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또한, 아이부터 어르신까지 모두가 행복한 화성을 목표로 △안정적인 양육 환경 조성을 위해 국·공립어린이집, 다함께돌봄센터, 시간제 보육지원사업 등 확대 운영 △고령화 시대를 대비해 노인평생교육 강화 및 노인건강증진 사업 등을 추진하고 있다.
홍노미 기획조정실장은 “화성특례시는 2024년 출생아 수가 7200명으로 집계되며 전국 기초자치단체 1위를 기록하고 합계출산율도 1.01명으로 1명대를 회복하는 성과를 이뤘다”며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역피라미드형 인구구조 변화에 선제 대응하고 권역별 특성을 반영한 지속가능한 인구정책을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화성=박범천 기자 pbc2001@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