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모레퍼시픽그룹은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아모레퍼시픽홀딩스의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555.5%나 성장한 801억원을 기록했다고 1일 잠정 공시했다. 매출액은 1조950억원으로 8.9% 늘었다.
주력 회사인 아모레퍼시픽이 이끌고 이니스프리와 에뛰드 등 자회사가 따라가면서 전반적으로 호실적을 보였다. 아모레퍼시픽만 보면 영업이익은 737억원으로 1673%나 신장했다. 매출은 11.1% 증가한 1조50억원을 기록했다.
아모레퍼시픽은 국내외에서 모두 좋은 성적표를 받았다. 국내 영업이익은 402억원으로 164% 증가했고, 매출은 8.2% 늘어난 5536억원을 기록했다. 럭셔리 부문에서는 설화수와 아이오페 등 핵심 제품이 성장을 이끌었고, 프리미엄 부문에서는 마몽드와 한율 등이 성장했다. 해피바쓰와 일리윤 등 데일리 뷰티 브랜드도 매출이 늘었다.
특히 북미권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리밸런싱 전략이 효과를 봤다. 해외 영업이익은 360억원으로 611%나 증가했고, 매출 또한 4364억원으로 14.4% 늘었다.
그중에서도 에스트라와 한율 등이 미주 시장에서 새롭게 선보이며 주목을 받았고, 라네즈와 이니스프리 등도 인기를 얻었다. 신흥 시장인 유럽·중동(EMEA)에서는 영국을 중심으로 라네즈와 이니스프리 등이 호조세를 보이며 매출이 18% 늘었다.
구조 개선 작업을 해온 중국 실적도 뒷받침이 됐다. 중국 매출은 23% 성장했고, 다른 아시아 시장에서도 매출이 9% 늘었다. 아모레퍼시픽 관계자는 “중화권 시장은 사업 거래 구조를 바꾼 효과를 바탕으로 매출이 성장했다”고 설명했다.
반면 LG생활건강과 애경산업도 미국과 일본 등 새로 집중하고 있는 지역에서는 성장세를 보였지만, 아직 국내와 중국 비중이 높아 전체적으로 역성장했다.
올해 2분기 LG생활건강의 연결 기준 매출은 1조604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8%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548억원으로 65.4%나 줄었다.
그중 화장품(뷰티) 부문 매출은 6046억원으로 19.4% 감소했다. 영업이익은 163억원의 손실을 보며 적자로 전환했다. 내수 침체로 음료 부문 매출(-4.2%)과 영업이익(-18.1%)까지 감소하면서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 들었다.
해외만 보면 해외 매출의 절반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 매출이 1856억원으로 8% 하락하며 실적을 끌어 내렸다. 북미(6.4%)와 일본(12.9%) 매출은 올랐지만 도움을 보태지 못했다. LG생활건강 관계자는 “브랜드와 채널 다변화가 지속됐지만 면세 등 전통 채널 비중이 축소되며 매출이 하락했다”며 “선제적 물량 조정 등 국내 사업 구조 정비를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매각 절차를 밟고 있는 애경산업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36.1% 감소한 112억원에 그쳤다. 매출은 1713억원으로 1.3% 줄었다.
부문별로 봐도 화장품(-45.7%)과 생활용품(-16.7%) 모두 영업이익이 줄었다. 애경산업 관계자는 “화장품 사업은 지난해 고성장으로 역기저 효과가 나타났다”며 “국내외 브랜드 인지도 향상을 위한 마케팅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진주 기자 ohpearl@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