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 앤슐츠 의과대학 교수진이 케이메디허브와 애니메디솔루션, 서울아산병원을 방문해 메디컬트윈 개발을 위한 기술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 사진: 대구시 제공 |
[대한경제=민향심 기자] 대구경북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케이메디허브가 미국 콜로라도대학교 앤슈츠 의과대학과 손잡고 메디컬트윈 개발을 본격화한다. 이번 연구에는 애니메디솔루션과 서울아산병원이 참여해 미국 의료데이터를 활용한 3D 프린팅·시뮬레이션 기술을 공동 개발한다.
앤슈츠 의과대학은 지난달 세 기관을 차례로 방문해 협력체계를 점검했다. 알렉스 바커 교수와 제니 자블라 교수는 기술 연계방안과 미국 내 실증연구, 사업화 추진전략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이번 연구는 산업통상자원부의 전략기술형 국제공동기술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케이메디허브 첨단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가 총괄기관, 애니메디솔루션이 주관기관, 서울아산병원이 공동연구기관을 맡는다. 심혈관 질환 환자 맞춤형 치료법 개발과 글로벌 의료기술 고도화가 목표다.
애니메디솔루션은 미국시장 진출을 겨냥해 수술 시뮬레이터와 환자 맞춤형 교육·계획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연구책임자인 김국배 대표는 “새로운 소프트웨어 플랫폼이 국가 간 의료데이터 활용 장벽을 낮춰 국제 공동연구와 임상협력을 효율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아산병원은 임상 데이터를 기반으로 메디컬트윈 기술의 임상 유효성을 검증한다. 양동현 교수는 “실제 환자 데이터를 활용해 맞춤형 치료계획을 세우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케이메디허브는 연구기관 간 협업을 조율하며 미국 의료기관과 연계를 확대해 국내 기술의 글로벌 실증과 보급을 추진한다. 허형규 선임연구원은 연구 총괄을 맡는다.
박구선 이사장은 “이번 협력은 데이터 기반 정밀의료 기술을 중심으로 양국 간 상호보완적 협력 모델을 구현하는 대표 사례”라며 “메디컬트윈과 AI 기반 예측의료, 맞춤형 의료기기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겠다”고 말했다.
메디컬트윈은 가상공간에서 치료와 수술을 시뮬레이션하는 기술로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와 모의수술 등에 활용된다.
민향심 기자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