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방문객ㆍ소비액 급증세
대기업ㆍ대표 브랜드 속속 입점
![]() |
핫플레이스로 등극한 서울 성동구 풍경. /사진 : 성동구 제공 |
[대한경제=박호수 기자] 서울 성동구가 2022년부터 밀어붙인 ‘E+ESG’ 전략이 코로나19 이후 빠른 지역경제 회복을 이끌어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고 10일 밝혔다.
‘E+ESG’는 환경·사회·거버넌스(ESG)에 경제(Economy)를 결합한 성동구 고유의 도시 모델로, 정 구청장이 직접 설계했다. 전국 지방정부 가운데 최초로 전면 정책화했고, 82개 정량 지표와 47개 실천 과제를 바탕으로 도시를 새로 짜 맞췄다.
효과는 성수동에서 가장 뚜렷하다. 2024년 외국인 관광객이 300만명을 넘었고, LG유플러스 데이터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성수동 권역 외국인 방문객은 약 150만명 가까이 늘었다. 이 추세라면 2025년 연간 방문객은 500만명을 훌쩍 넘길 전망이다. 같은 기간 외국인 카드 결제액은 1315억 원으로 전년보다 226.3% 증가했다. 결제 품목의 95% 이상이 의류·화장품 등 K컬처 중심이다.
성수동의 부상은 ‘기업이 자리를 잡으면 사람이 모인다’는 오래된 공식이 아닌, ‘사람이 모이는 곳에 기업이 찾아온다’는 창조도시론의 성공 사례다. 성동구는 2014년부터 붉은 벽돌 지원 사업, 언더스탠드에비뉴 조성, 젠트리피케이션 방지 정책, 소셜벤처 육성 등을 통해 문화예술인과 사회혁신가 활동을 뒷받침해왔다. 도시재생과 함께 카페·갤러리·팝업스토어·공방·디자인 스튜디오 등 감각적인 공간이 들어서면서 MZ세대와 관광객이 몰려들었고, 성수만의 독창적인 문화가 만들어졌다.
![]() |
성수동 풍경. / 사진 : 성동구 제공 |
기업 유치 전략도 한몫했다. 성수 일대를 ‘성수IT산업·유통개발진흥지구’로 지정해 용적률을 최대 560%까지 완화, 민간 투자를 이끌었다. 단순 규제 완화가 아니라 전략적 용도 지정과 고밀도 개발이 가능해진 것이다. 인허가 절차도 한 달 이상 걸리던 건축 승인을 최대 5일 이내로 단축했고, TF 운영으로 행정 속도를 높였다. 취득세·재산세를 최대 50% 감면하는 제도는 2024년에만 약 15억원 규모의 지원 효과를 냈다.
그 결과, 성수동은 영국 여행문화잡지 타임아웃이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동네 4위’에 올랐다. SM엔터테인먼트, 무신사, 젠틀몬스터, 디올 성수, 크래프톤 등 대기업과 대표 브랜드가 속속 거점을 마련했다. 퓌(Fwee), 데이지크, 롬앤, 삐아 등 K뷰티 브랜드의 1호점도 성수에서 시작됐다. 성수는 이제 ‘유행’이 아니라 브랜드의 상징성을 증명하는 무대가 됐다.
최근 성동구는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이 발표한 ‘지역회복력 평가’에서 서울 자치구 중 유일하게 전국 Top10에 선정됐다. 경제 회복력 부문은 전국 3위였다. 이 평가는 위기 복구를 넘어 전환·적응·지속성장을 측정하는 공신력 있는 지표다. 성동구는 500여 개 소셜벤처·사회적경제기업과 13만 개 일자리 창출을 기반으로, 혁신성과 포용성을 모두 갖춘 회복탄력성이 높은 기초자치단체로 인정받았다.
정원오 구청장은 “낡은 공장지대였던 성수동을 세계가 사랑하는 도시로 바꾸는 과정 자체가 E+ESG 전략”이었다며 “앞으로도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어가는 도시로 자리매김하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말했다.
박호수 기자 lake806@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