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미국 파이 공장 중단이 미국 실적에 얼마나 영향을 미쳤나?
미국 파이 공장은 지난 5월부터 생산을 다시 시작했다. 현재 기존 유통 채널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이번 3분기에는 정상화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연내 기존 물량까지 정상화할 것으로 예상된다.
▲ 일본 신공장이 가동되면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일본 신공장은 내달 가동 예정이다. 실제 투자 금액은 1000억원 수준이다. 감가상각비 증가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만두 시장 규모가 1조원 정도다. 점유율을 높여갈 것이며, 현재 월별 매출 등을 볼 때 목표한 매출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미국은 유럽보다 중국산 라이신 비중이 적은데, 바이오 부문 수익성 개선은 어떻게 전망하는가?
라이신의 경우 현재 유럽에선 중국산에 대해 업체별로 48~58% 관세 부과가 확정됐다. 북미에 이어 남미도 관세 부과를 진행 중이다. 유럽에선 관세 반사이익을 활용해 중국산 구매 고객을 대상으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할 것이다. 이를 위해 판매가격 등 운영 전략들을 실행 중이다. 미국에서도 시장 지배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전략으로 준비 중이다.
▲ 힌국과 미국 식품 부문에서 원재료 부담은 어떤가?
미국 시장 영업이익 감소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건 파이 생산을 중단하면서 고정비 부담이 늘었기 때문이다. 미국 외 다른 국가에서 성장을 기반으로 수익성 증가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한다.
국내에선 소비 저하로 매출 성장이 많이 미흡했다. 가공식품의 원재료비 증가로 수익성에 대한 부담이 있었다. 이 부분은 하반기에도 계속 부담될 것으로 예상한다. 다만, 국내에선 내부적으로 비용 절감에 주력해 올 하반기에는 상반기보다 수익성을 개선하겠다.
▲ 셀렉타 매각 철회와 관련해 설명해달라.
셀렉타 관련해 감가상각비 영향은 분기별로 40억원 내외 정도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 국내 가공식품 중 어떤 카테고리에서 매출이 감소했는가?
올 상반기에는 전반적으로 국내 경기 침체 영향으로 상대적으로 프리미엄 지위를 갖고 있었던 제품에서 매출이 하락했다. 올 하반기에는 내식 수요에 적극 대응할 수 있는 제품 중심으로 매출을 늘릴 것이다. 또 치킨과 같은 대형 신제품 중심으로 신규 수요를 확보해 더 개선시킬 것이다. 각 채널에서는 소비 쿠폰 영향이 있는 국내 오프라인 가정용 수요를 확대할 예정이다. 온라인 채널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다.
▲ 미국 피자 시장에 대해 설명해달라.
미국 피자 시장에선 경쟁사와 점유율을 양분하고 있어 큰 변동은 없다. 제품의 경쟁력이나 판매량 확대를 우선해 시장 점유율 1위를 공고히 하고 있다. 또 하반기에는 수요가 늘어날 것에 대비해 프리미엄 라인을 강화하고, 1인 제품 등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면서 1위를 지속할 것으로 전망된다.
오진주 기자 ohpearl@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