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경제=임성엽 기자]서울교통공사는 공공성 강화를 위한 제도개선 이후 처음으로, 성수ㆍ종각ㆍ을지로4가 등 7개 역 역명병기 유상판매 입찰을 실시한다고 18일 밝혔다. 입찰은 이달 19일 시작해 29일 마감한다.
역명병기는 지하철 역명 옆 또는 아래 괄호 안에 기관(기업)의 이름을 추가로 기입하는 제도다. 한글과 영문 표기를 원칙으로 한다.
병기역명은 폴사인ㆍ출입구 역명판, 승강장 및 안전문 역명판, 전동차 단일노선도 등 총 8종의 대상에 표기되고, 하차역 안내방송에도 기관명이 송출된다.
공사는 시설노후로 인한 안전투자비는 증가하고 있으나, 원가보다 낮은 운임에 매년 늘어나는 무임수송 등 교통복지 정책비용으로 재정 부담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수익창출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다.
역명병기 유상판매 사업도 그 노력의 일환으로 2016년부터 추진했다. 지난해에는 공공성 논란이 일어났다.
이에 지난달 공사는 공공성 강화를 위한 심의기준 계량화 등을 포함한 제도개선을 완료하고, 개정 ‘역명병기 유상판매 세부운영지침’에 따라 1ㆍ2단계 절차를 거쳐 낙찰기관을 선정한다.
1단계 심의에선 정량평가 70점(접근성, 공공성)과 정성평가 30점(심의위원회 평가)을 합산해 100점 만점에 70점 이상 획득한 기관에 입찰자격을 준다. 2단계 심의에선 최고가 입찰 기관을 낙찰자로 최종 선정한다.
이번 입찰 대상역은 종각(1호선), 성수(2호선), 독립문ㆍ신사(3호선), 마포(5호선), 수진(8호선), 을지로4가(2,5호선) 총 7개역이며 기존 계약이 종료된 역과 사전 수요 조사 등을 통해 선정했다.
역명병기를 통해 기관(기업)은 지하철 역명을 활용한 브랜드 홍보를 할 수 있다. 역 이용객의 편의 증진 효과도 기대된다. 현재 37개역의 역명병기 사용기관(기업)들이 이러한 홍보 효과를 확인했다. 올해 기준 계약만료역의 재계약률도 100%에 이르는 등 좋은 평가를 받고 있다.
손병희 전략사업본부장은 “이번 역명병기 제도개선으로 공공성을 한층 강화하고, 심의절차의 객관성과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역명병기 유상판매 사업은 공사 재정 건전화 뿐만 아니라 기관(기업)의 브랜드 가치 제고에도 도움이 된다. 합리적인 비용으로 상징성 있는 역명을 활용할 수 있는 이번 기회에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임성엽 기자 starleaf@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