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사진: 직방 제공 |
[대한경제=황은우 기자] 지난달 서울 아파트 신규 임대차 시장에서 월세와 전세 계약 비중이 반반에 접근했다는 분석이 나왔다.
18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의 서울 아파트 임대차 거래 신규 계약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월세 비중은 48%로, 지난해 7월(41%)보다 7%포인트(p) 상승했다. 반면 전세 비중은 같은 기간 59%에서 52%로 낮아졌다.
전세보다 월세 비중이 높은 자치구는 동대문구(62%), 강북구(60%), 종로구(59%), 용산구(57%), 금천구(55%), 중랑구(54%), 강남·중구(53%) 등이었다.
용산, 강남, 중구, 종로 등은 직장과 근접한 수요가 밀집된 고가 주거지로 유동성 선호 경향이 상대적으로 커 월세 거래 비중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직방은 분석했다.
동대문구와 중랑구는 신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초기 자금 부담이 작용하며 월세 거래가 활발했던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반해 도봉구, 동작구, 양천구, 성북구, 노원구 등은 여전히 전세 비중이 절반 이상으로 나타났다.
직방 관계자는 “과거 전세 중심의 임대차 구조가 점차 전세·월세 간 균형에 가까운 구조로 재편되고 있다”며 “지역별 수급 상황이나 가격대, 주거 선호도에 따라 임대차 시장의 변화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고 했다.
황은우 기자 tuser@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