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설계 글로벌 경쟁력 제고 방안은
실무에 쓸 수 없는 KS, 해외선 공사 중단 위험
ENㆍUS 본뜬 ‘한국형 표준 코드’ 필요
시급히 논의 틀 꾸려 국제 기준 대응해야
![]() |
한일호 MAP건축그룹 회장이 <대한경제>와 인터뷰하고 있다. / 사진=안윤수 기자 ays77@ |
[대한경제=전동훈 기자] 한일호 엠에이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이하 MAP건축그룹) 회장은 국내 건축설계업계의 해외 경쟁력을 좌우하는 열쇠로 ‘자국형 코드(법규 및 기준)’를 지목했다.
한 회장은 “국내 KS 기준은 실무 설계에 적용하기 어렵고, 해외 프로젝트에서도 현지 코드를 충족하지 못하면 공사 중단 등 손실로 직결된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해외 프로젝트 리스크 관리의 핵심으로 ‘사전 코드 평가(Code Evaluation)’를 거론했다. 사업 초기부터 해당국 법규를 면밀히 대조하는 작업을 기본 절차로 삼아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 회장은 이 같은 선제적 대응을 제도화하려면, 결국 국내만의 통합 설계기준이 필요하다고 봤다. 그의 복안은 ‘한국형 표준’의 구축이다.
영국의 EN, 미국의 US 등 국제 코드를 국내 여건에 맞게 재구성한 ‘한국형 표준 코드(Korea Standard)’를 마련해 세계 어디서든 일관되게 적용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추자는 제안이다.
그는 인도가 브리티시 코드를 자국 실정에 맞춰 ‘인디안 코드’로 정착시켜 세계 무대에서 활약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추진 방식도 구체적이다. 주거, 하이테크 등 각 분야의 역량 있는 건축설계사들이 컨소시엄을 이뤄 정부 연구개발(R&D)용역을 수주하고, 그 결과물을 업계가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하며 사례를 확산시키자는 구상이다.
그는 “건축단체의 역할에 국한할 것이 아니라,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의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국토교통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공공 부문의 주도적 역할이 필요한 때”라고 진단했다.
건축설계사의 실무 역량 강화도 병행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 회장은 “국내 설계사도 국제 시장에서 통용되는 입찰문서(Bid Document)를 직접 작성할 수 있을 만큼 표준화된 프로세스를 갖춰야 한다”며 “발주ㆍ조달 단계에서부터 스펙과 성능 기준을 규격화해 제시해야 해외 설계사와 동등한 조건에서 경쟁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형 설계 코드 마련을 위한 첫걸음으로는 업계 차원의 연대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덧붙였다. 개별 기업이 각자 대응하는 방식으로는 한계가 뚜렷해서다.
한 회장은 “우선 전문 건축설계사들이 연합체를 구성하고, 포럼 형식의 연합체를 꾸려 논의의 틀을 만드는 것이 급선무”라며 “연대를 위한 플랫폼이 마련돼야 국제 기준에 대응할 실질적 대안이 나오고, 한국형 코드 역시 현장에 뿌리내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추진 방식도 구체적이다. 주거, 하이테크 등 각 분야의 역량 있는 건축설계사들이 컨소시엄을 이뤄 정부 연구개발(R&D)용역을 수주하고, 그 결과물을 업계가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하며 사례를 확산시키자는 구상이다.
그는 “건축단체의 역할에 국한할 것이 아니라, 국가 경쟁력 차원에서의 접근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국토교통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공공 부문의 주도적 역할이 필요한 때”라고 진단했다.
건축설계사의 실무 역량 강화도 병행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 회장은 “국내 설계사도 국제 시장에서 통용되는 입찰문서(Bid Document)를 직접 작성할 수 있을 만큼 표준화된 프로세스를 갖춰야 한다”며 “발주ㆍ조달 단계에서부터 스펙과 성능 기준을 규격화해 제시해야 해외 설계사와 동등한 조건에서 경쟁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형 설계 코드 마련을 위한 첫걸음으로는 업계 차원의 연대가 필요하다는 주장도 덧붙였다. 개별 기업이 각자 대응하는 방식으로는 한계가 뚜렷해서다.
한 회장은 “우선 전문 건축설계사들이 연합체를 구성하고, 포럼 형식의 연합체를 꾸려 논의의 틀을 만드는 것이 급선무”이라며 “연대를 위한 플랫폼이 마련돼야 국제 기준에 대응할 실질적 대안이 나오고, 한국형 코드 역시 현장에 뿌리내릴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전동훈 기자 jdh@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