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북한 미사일총국은 지난 23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참관한 가운데 성능을 개량한 두 종류의 신형 지대공(반항공) 미사일의 전투적 성능검열을 위하여 각이한 목표들에 대한 사격을 진행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24일 보도했다. / 조선중앙통신 |
[대한경제=강성규 기자] 북한이 이재명 대통령의 일본과 미국 릴레이 순방 시작일에 신형 지대공 미사일을 시험 발사했다.
조선중앙통신은 24일 북한 미사일총국이 전날 개량된 두 종류의 ‘신형반항공미싸일(미사일)’의 전투적 성능 검열을 위해 사격을 진행했다고 보도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시험 사격을 직접 참관하며 ‘중요한 과업’을 재확인했다고도 밝혔다.
통신은 “사격을 통해 신형미사일무기체계가 무인 공격기와 순항미사일을 비롯한 공중 목표들에 대한 전투적 속응성이 우월하며, 가동 및 반응방식이 독창적이고 특별한 기술에 기초하고 있다고 평가됐다”고 주장했다. 특히 개량된 두 종류 탄의 기술적 특성이 “각이한 공중목표소멸에 대단히 적합한 것으로 인정됐다”고 강조했다. 미사일이 공중 표적 격추에 성공한 모습이 담긴 사진을 여러 장 공개하기도 했다. 여기에는 순항미사일을 타격하는 장면도 포함됐다. 북한이 이례적으로 이번 시험발사 결과와 신형 미사일의 성능 등을 구체적으로 언급한 것을 두고, 이 대통령의 순방에 맞춰 한미일에 대응하는 방어ㆍ억제 능력을 과시하기 위한 의도라는 분석이 나온다.
북한은 이날 미국발 ‘관세 전쟁’을 정조준하기도 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미국이 도발을 건 관세전쟁, 무역전쟁으로 세계 경제가 크게 뒤흔들리고 있다”면서 “더 엄중한 것은 여러 지역과 세계의 평화와 안전이 위기에 빠져들고 있다”고 비난했다. 또한 미국이 한반도에 핵전략 공격수단을 상시 전개하고 한미일 군사동맹을 구축함으로써 아시아태평양지역의 군사정치 정세가 악화일로를 걷고 있다고 주장했다.
한편 유엔군사령부는 지난 19일 비무장지대(DMZ)에서 건설 및 보수 작업을 하던 북한군 30여명이 군사분계선(MDL)을 월선한 사실을 확인했다고 이날 밝혔다. 북한은 전날 군 총참모부 부총참모장 고정철 육군 중장 명의로 ‘남부 국경 일대에서 군사적 충돌을 야기시키는 위험한 도발행위를 당장 중지해야 한다’는 담화를 통해 지난 19일 한국군이 MDL 부근에서 작업 중인 북한군에 12.7㎜ 기관총으로 10여발의 경고사격을 가했다고 주장한 바 있다.
유엔사는 “북측의 발표는 물론 DMZ에서 발생한 사건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며 “사건이 발생했을 때 유엔사 군사정전위원회는 표준절차에 따라 조사를 시작했다”고 전했다. 이에 따르면 한국군은 MDL을 넘어온 북한군에 대해 한국군은 월선 사실을 알리기 위해 여러 차례 경고 방송을 했지만 북한군은 응답하지 않았고, 이에 한국군은 경고사격을 실시해 북한군이 MDL 북측 지역으로 돌아가게 했다. 다만 북한이 DMZ 내 작업 활동에 대해서는 사전에 통보했다면서 “오해와 우발적 사건의 위험을 낮추는 사전 통보와 대화의 가치는 인정한다”고 덧붙였다.
강성규 기자 gga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