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현신균 LG CNS 대표가 25일 서울 강서구 마곡 LG사이언스파크 컨버전스홀에서 열린 AX 미디어데이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사진:LG CNS |
[대한경제=심화영 기자] “고객의 인공지능(AI) 전환 전 과정을 함께 만들어가며 빠른 혁신, 안전한 운영, 높은 성과를 거둘 수 있도록 돕는 ‘넘버원 인공지능 전환(AX) 조력자’가 되겠다.”
현신균 LG CNS 대표는 25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에서 열린 ‘AX 미디어데이’에서 기업의 업무 생산성을 높이는 에이전틱(Agentic) AI 플랫폼 ‘에이전틱웍스’와 업무혁신 서비스 ‘에이엑스씽크’를 공식 공개했다.
에이전틱웍스는 설계·구축·운영·관리 전 과정을 지원하는 국내 유일의 6종 모듈형 풀스택 플랫폼이다. 코딩 환경과 노코드 환경을 동시에 제공해 개발자뿐만 아니라 일반 직원도 직접 에이전틱 AI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다.
핵심은 MCP(Model Context Protocol)와 A2A(Agent to Agent) 지원이다. MCP는 AI 모델과 외부 시스템을 연결하는 개방형 프로토콜로 ‘멀티 콘센트’에 비유된다. 기존에는 AI와 ERP·CRM 등 기업 시스템을 연동하려면 별도 맞춤형 개발이 필요했지만, MCP를 통해 연동을 표준화함으로써 구축 기간과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실제 적용 결과도 주목할 만하다. 인사 채용에 활용할 경우 수만 건의 자기소개서·인적성 검사 데이터를 분석해 적합한 인재를 추천하고, 지원자별 맞춤 면접 질문까지 자동 생성해 업무 생산성이 약 26% 개선됐다. 재무 부문에서는 사업비 변동을 자동 감지하고 리포트를 작성해 사전 리스크 관리에 활용된다.
에이엑스씽크는 임직원의 일정·메일·회의·번역 등 공통업무를 AI로 전환하는 서비스다. AI가 메일을 요약해 회의 일정을 자동 등록하거나, 회의 내용을 실시간 번역해 회의록 작성·공유까지 처리한다. 사용자가 “회의록을 기반으로 출장 품의를 작성하고 주간보고에 반영해 달라”고 요청하면 AI가 그룹웨어와 ERP를 연동해 자동 수행하는 방식이다.
LG디스플레이에 시범 적용한 결과, 하루 평균 업무 생산성이 10% 향상됐고 외부 서비스 도입 대비 연간 100억원 이상 비용 절감 효과를 거뒀다. LG CNS는 향후 3년 내 생산성을 30% 이상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신균 대표는 “에이전틱 AI는 단순 반복 업무를 넘어 기업의 업무 전 과정을 능동적으로 분석·조율하며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단계로 진화했다”며 “AI와 시스템통합(SI)을 동시에 할 수 있는 LG CNS의 강점이 더욱 부각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LG CNS는 국내를 시작으로 해외 시장에도 에이전틱웍스와 에이엑스씽크를 순차 공급하며 글로벌 기업 고객으로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심화영 기자 dorothy@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