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정상회담 중 악수하고 있다. / 사진: 연합뉴스 |
[대한경제=강성규 기자]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양국 간 통상의 핵심 분야인 조선업을 중심으로 경제협력을 강화하자는 데 뜻을 모았다.
이 대통령은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미국이 다시 위대하게 변하고 있는 것 같다”며 “조선 분야뿐 아니라 제조업 분야에서 르네상스가 이뤄지고 있고, 그 과정에 대한민국도 함께하게 되기를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한미동맹을 군사 분야뿐만 아니라 경제 분야, 과학기술 분야까지 확장해 미래형으로 발전시켰으면 좋겠다”고 기대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미국은 조선업이 상당히 폐쇄됐기에 한국에서 구매해야 할 것”이라고 화답했다. 그는 “앞으로 한국과 협력을 통해 미국에서 선박이 다시 건조되길 바란다”며 “미국의 조선업을 한국과 협력해 부흥시키는 기회를 갖게 되길 바란다”고 주문했다.
트럼프는 우리 정부가 내세운 ‘마스가’(MASGA) 프로젝트에 대해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생각한다”면서도 “미국 조선업을 매우 위대하게 만들 것”이라고 답하기도 했다.
또 “(한미는) 서로 필요한 관계라고 생각한다. 양국의 제품을 서로가 좋아한다”며 “한국은 에너지가 필요한데, (미국은) 알래스카에 풍부한 자원을 갖고 있다. 한국과 같이 협업하고 싶다”고도 했다.
이날 회담에서 가장 많이 거론된 키워드는 ‘대북 대화 재개’였다.
이 대통령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만나달라고 요청했고, 트럼프는 가능하면 올해내 만나고 싶다고 답했다.
이 대통령은 “세계 지도자 중 전 세계 평화 문제에 (트럼프) 대통령님처럼 이렇게 관심을 가지고 실제 성과를 낸 건 처음”이라며 “피스메이커로서의 역할이 정말 눈에 띄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이어 “가급적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분단국가로 남아 있는 한반도에도 평화를 만들어달라”며 “김 위원장도 만나달라”고 요청했다.
또 “북한에 트럼프월드도 하나 지어서 저도 거기서 골프도 칠 수 있게 해주시고 세계사적인 평화의 메이커 역할을 꼭 해주시길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김여정 북한 노동당 부부장이 최근 한미를 비난하는 발언을 할 때도 트럼프와 김정은의 특별한 관계는 의심하지 않는다고 했다며 “기다리고 있다는 뜻으로 보인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러면서 “저의 관여로 남북 관계가 잘 개선되기는 쉽지 않은 상태인데, 실제로 이 문제를 풀 수 있는 유일한 인물은 트럼프 대통령”이라며 “대통령께서 ‘피스메이커’를 하시면 저는 ‘페이스메이커’로 열심히 지원하겠다”고 약속했다.
트럼프도 “김 위원장과 저는 좋은 관계를 유지했다”며 “제가 (1기 정부 당시) 김 위원장을 ‘로켓맨’이라고 얘기했는데, 다시 한번 얘기를 하게 되기를 바란다. 서로 대화할 준비가 된다면 그런 기회가 있으리라 생각한다”고 화답했다.
![]() |
이재명 대통령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백악관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사진: 연합뉴스 |
한미일 협력 강화도 강조했다. 트럼프는 “일본이 아주 소중한 우방이라고 생각하지만 한일관계가 다소 껄끄러운 부분이 있었다”며 “저는 위안부 문제가 과거에 몇 차례 해결이 됐다고 생각했는데 그렇지 않더라”고 언급했다.
이 대통령은 “한미일 협력은 매우 중요한 과제이고, 한미관계 발전을 위해 한일관계도 어느 정도 수습돼야 한다”며 “대통령께서 한미일 협력을 매우 중시하시기 때문에 제가 미리 일본과 만나서 걱정하실 문제를 다 정리했다”고 답했다.
트럼프는 “일본은 한국과의 관계 개선을 적극 바라고 있다. 대북정책에서도 한국과 일본의 이해관계가 일치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10월 경주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 정상회의를 계기로 김 위원장이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의 만남 성사 가능성에 대해 “김 위원장과 다시 만날 기회가 있다면 상당히 좋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다시 한번 만나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재차 강조하기도 했다.
미중 관계에 대해서는 “시진핑 주석과 최근에도 대화를 가졌는데, 올해 아니면 조만간 제가 방중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이 대통령을 향해 “같이 가겠느냐. 같이 방중을 할 수도 있을 것 같은데, 같이 전용기에 탑승하면 연료를 절감할 수 있을 것”이라며 “오존층 파괴도 막을 수 있을 것”이라고 농담을 건넸다.
이 대통령이 “같이 가면 좋겠다”고 답하자 트럼프 대통령도 “특별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저희가 중국과 좋은 관계를 맺고 있다”고 응답했다.
회담 전 부상한 ‘주한미군 감축론’에 대해선 트럼프는 “그걸 지금 말하고 싶지는 않다. 우리는 친구이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그는 현재 주한미군이 사용하는 기지를 미군이 소유하는 게 아니라 임차하고 있다며 “내가 하고 싶은 일들 중 하나는 어쩌면 한국에 우리가 큰 기지를 갖고 있는 땅의 소유권을 우리에게 달라고 요청하는 것”고 말했다.
이어 “우리는 기지를 건설하는 데 엄청난 돈을 썼고 한국이 기여한 게 있지만 난 그걸(소유권을) 원한다”며 “우리는 임대차 계약을 없애고 우리가 엄청난 군을 두고 있는 땅의 소유권을 확보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강성규 기자 ggang@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