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표=한국은행. |
[대한경제=김봉정 기자] 기업들의 체감경기가 석 달 만에 회복세를 보이며 지난해 11월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관세 협상 타결 효과에 반도체·자동차 수출 호조가 제조업 회복을 이끌었고 소비쿠폰 지급 등의 영향으로 비제조업 업황도 개선됐다.
27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8월 기업경기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전산업 기업심리지수(CBSI)는 전월 대비 1.0포인트(p) 오른 91.0을 기록했다. 전산업 CBSI는 6월과 7월 두 달 연속 하락하다가 세 달 만에 반등에 성공했다.
이번 수치는 지난해 11월(91.8) 이후 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지만, 여전히 장기평균(2003~2024년)인 100을 밑돌아 기업들의 체감경기는 여전히 비관적인 것으로 평가됐다.
CBSI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가운데 제조업 5개, 비제조업 4개 주요 지표를 종합해 산출하는 기업 심리 지표다.
제조업 CBSI는 93.3으로 전월 대비 1.4p 상승했다. 제품재고(+0.6p), 업황(+0.4p) 지표가 개선된 것이 반등을 이끌었다.
비제조업 CBSI도 89.4로 전월보다 0.7p 올랐다. 업황(+0.4p)과 매출(+0.3p)이 모두 호조세를 보였으며 이는 지난해 11월(92.5) 이후 9개월 만에 최고치다.
기업들은 다음 달 체감경기도 개선될 것으로 예상했다.
9월 CBSI 전망치는 전산업 91.8, 제조업 92.1, 비제조업 91.5로, 이달 대비 각각 3.4p, 1.1p, 4.7p 상승했다. 전산업과 비제조업의 상승 폭은 지난 2021년 5월(+5.9p, +5.1p) 이후 가장 컸다.
세부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에서는 자동차, 기타 기계·장비, 전기장비 업종이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비제조업에서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전공의 복귀 등의 영향으로 유통업체와 의약품 업체의 업황이 좋아져 도소매업이 호조를 보였다. 휴가철 여행 수요 증가로 운수창고업 업황도 나아졌다.
이혜영 한은 경제심리조사팀장은 “관세 협상 타결로 통상 불확실성이 완화된 가운데 반도체와 자동차를 중심으로 수출이 호조세를 보였다”며 “비제조업 역시 휴가철·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등의 영향으로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김봉정 기자 space02@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