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상업ㆍ준주거지역 맞춤형 지침 적용
관악S밸리 연계 일자리 중심 기능 강화
![]() |
서울 관악구 봉천지역중심 지구단위계획 위치도. / 사진 : 봉천구 제공 |
![]() |
[대한경제=박호수 기자] 서울 관악구가 서울대입구역에서 봉천역에 이르는 강감찬대로 일대 약 59만3000㎡를 대상으로 한 ‘봉천지역중심 지구단위계획(안)’을 내놓으며 민간개발 활성화에 기대를 모으고 있다.
관악구는 민간개발의 동력을 살리기 위해 이번 계획안에 △관악로 남측 구역 확장 △용적률 체계 개편 및 최고높이 완화 △관악 S밸리 연계 일자리 중심 기능 도입 등의 내용을 담았다고 28일 전했다.
특히 재정비는 역세권과 간선도로변의 복합개발을 촉진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기존보다 완화된 용적률과 높이 규제가 적용되며, 특히 준주거지역의 이면부에도 간선도로변과 동일한 용적률을 적용한다. 일반상업지역의 경우에도 2000㎡ 이상 개발 시 간선변과 같은 수준의 용적률을 허용한다.
1000∼2000㎡ 규모로 자율적 공동개발을 추진할 경우에는 추가 인센티브도 부여해 다양한 규모의 민간사업이 용이하도록 했다.
건축 높이 규제 역시 크게 완화된다. 지금까지 일반상업지역의 최고 높이가 80m로 제한돼 있었으나 앞으로는 100m까지 가능하다. 여기에 개발 규모와 권장 용도를 연계하면 최대 120m까지 허용돼 전 구역에 걸쳐 최대 30m 높이가 추가로 열리게 된다.
지구단위계획 구역도 확장된다. 관악로 남측 1만9841㎡ 구간이 새로 포함됐고, 특별계획가능구역 2곳이 신설돼 노후ㆍ저밀도 지역의 역세권 복합개발을 이끌어갈 예정이다.
산업ㆍ업무 기능도 강화된다. 바닥면적 3000㎡ 이상 업무시설과 지식산업센터는 제3종 일반주거지역까지 건축이 가능하도록 규제를 풀었으며, 간선도로변에 지식산업센터ㆍ벤처기업집적시설ㆍ업무시설을 세울 경우 용적률 인센티브가 부여된다. 이는 관악S밸리의 산업기능을 뒷받침하기 위한 조치다.
구는 이번 계획안을 공고한 뒤 도시건축 공동위원회 자문을 거쳐 서울시에 최종 결정을 요청할 방침이다.
박준희 관악구청장은 “봉천∼서울대입구역 구간은 관악 최대 중심지임에도 개발 지연으로 노후화가 심화됐다”며 “이번 계획 재정비를 통해 민간 개발 활성화와 체계적인 도시관리를 도모하겠다”고 말했다.
박호수 기자 lake806@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