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28일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간담회에 참석하고 있다./사진: 최장주 기자 |
[대한경제=최장주 기자]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은행권에 담보·보증 위주 영업에서 벗어나 AI, 신산업 등 미래성장산업에 대한 자금공급 확대를 강조하는 동시에 가계부채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은행장들은 자본규제 완화 및 정책자금 활성화 등 지원과 더불어 상생금융 실천 우수 금융사에 대한 인센티브와 채무조정 활성화를 위한 절차 간소화 등을 건의했다.
28일 이찬진 원장은 서울 중구 은행회관에서 20개 국내은행 은행장과 간담회를 갖고 은행권의 당면 현안과 향후 방향을 논의했다.
이 원장은 간담회에서 “담보·보증 위주 영업에서 벗어나 AI, 신산업 등 미래 성장 산업으로 자금이 흘러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은행들이 리스크가 낮은 담보와 보증상품 위주의 ‘손쉬운 이자장사’에 치중하고 있다는 사회적 비판에 따른 것이다.
금감원은 건전성 규제 개선 등 제도적 지원을 확대해 은행들이 확보한 여유자본을 생산적 금융으로 활용하도록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중소기업·소상공인 금융지원 확대와 코로나19 피해 차주에 대한 원활한 만기연장도 함께 당부했다.
가계부채 관리에 대해서도 강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이 원장은 가계부채/GDP 비율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며 “DSR 등 상환능력 중심 심사 및 총량 관리를 철저히 이행하고, 6.27 대책 관련 규제 우회가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해달라”고 주문했다.
아울러 금융시스템 안정을 위해 근본적으로 영업방식을 개편해야 한다고 강조해 부동산 대출 쏠림 현상에 대한 우려를 드러냈다.
이에 대해 은행장들은 현재 ‘은행 건전성 규제 개선TF’에서 논의 중인 자본규제 완화 및 정책자금 활성화 등 감독 차원의 지원 확대를 요청했다.
상생금융 실천 우수 금융회사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와 채무조정 활성화를 위한 절차 간소화 필요성도 제기했다. 금소법 위반 시 과징금·과태료 등 금전제재 중복 부과에 대한 우려사항도 함께 전달했다.
조용병 은행연합회장은 “은행권이 그간 경제의 혈맥이자 방파제 역할을 해왔으며, 앞으로도 변화와 혁신을 통해 국가 경제 도약을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소비자 보호 강화 방안도 논의됐다. 이 원장은 ELS 불완전판매 등 대규모 소비자 권익침해 사례 재발 방지를 위한 사전예방적 소비자보호 체계 확립을 당부했다. 개인정보 유출, 직원 횡령 등 금융사고 방지를 위한 내부통제 강화 필요성도 강조했다.
은행권 혁신 역량 제고와 관련해서는 AI 기반 초개인화 서비스, ESG 금융, 해외 진출, IT기술 혁신 등이 언급됐다. 단순 비용절감이 아닌 지속가능한 수익모델 개발이 은행 경쟁력의 핵심이라고 평가했다.
이 원장은 “성장과 안정, 산업과 소비자, 혁신과 신뢰가 맞물려 돌아갈 때 지속가능한 성장을 할 수 있다”며 “원칙은 엄정하게 지키되 시장의 목소리를 경청하며 은행권 혁신을 지원하는 동반자적 감독기관이 되겠다”고 말했다.
최장주 기자 cjj323@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