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경제=임성엽 기자]최근 논란이 된 지역축제 안전관리 우수사례 경진대회에서 용산구가 ‘대상’을 차지한 것과 관련, 서울시는 경진대회 각 절차상 어떤 개입도 없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이 경진대회는 자치구 실무자 차원의 안전관리 사례를 모아 전반적인 서울시 지역축제 안전관리 역량을 높이도록 추진한 내부, 현장 실무직원 대상 행사였다.
‘이태원 참사’ 유가족의 아픔을 고려하지 않은 구청장의 과도한 치적 욕심이 이번 논란을 불렀다는 지적이 나온다.
29일 [대한경제]가 입수한 이번 지역축제 안전관리 우수사례 경진대회 최종결과서에 따르면 용산구는 98.05점을 받아 1위를 차지했다. 2위인 J구(91.20)와는 6.85점 앞섰다. 용산구는 1차 심사점수에서도 48.05점으로 1위를 기록했고, 2차에선 50점 만점을 받았다.
심사는 1차 서면심사와 2차 발표심사로 진행됐다. 서면심사는 서울시 재난안전예방과장이 내부위원으로, 외부 심사위원은 세종대, 유원대, 서울연구원, 한국교통연구원 연구원이 평가했다.
2차는 현장발표로 진행됐는데 13개 자치구 재난안전부서 직원들 76명과 외부 심사위원 4명의 표결로 수상작을 선정했다. 심사과정을 고려하면, 용산구 대상 수상 과정은 시 차원의 개입 없이 공정하게 이뤄졌다는 평가다.
행사를 연 서울시 입장에선 재난전문가들의 1차 심사와 2차 자치구 재난 실무전문가들의 투표로 1위에 오른 용산구를 시상하지 않거나 순위를 바꿨을 땐 공정성 측면에서 더 큰 논란을 야기할 수 있었다는 얘기다.
용산구는 5급 과장이 지난해 치른 ‘헬러윈 인파사고 방지대책’을 발표해 대상을 받았다. 10.29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자치구인 만큼, 다중운집 인파 안전관리에 더 각별한 준비를 해야할 의무가 있다. 용산구는 서울시 데이터 기반 실시간 밀집도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과 인파밀집 정도에 따른 경고방송, 밀집 군중 직접 경고 시스템 구축해 높은 점수를 받았다. 1차 심사 당시 재난전문가들도 축제의 안전관리 목표가 적절했고, 업무내용 적정성, 성과활용 및 예방 효과성 측면에서 최우수 자치구로 선정했다.
서울시는 대회를 선정된 우수사례를 전체 자치구와 공유하고, 자치구 특성에 맞게 적용하는 등 정보교류 차원에서 이번 행사를 마련했다. 우수사례를 분석하고 개선점을 도출해 서울시 지역축제의 안전관리 역량을 강화하자는 자치구 재난 실무자 간의 교류 행사였다는 설명이다.
이를 고려하면, 이번 논란은 용산구 스스로 자초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태원 참사가 채 3년도 되지 않은 시점에 청 차원에서 과도한 홍보로 논란을 야기했기 때문이다. 실제 서울시는 경진대회 사전계획상 대상 표창과 시상금을 자치구 내부 실무자에게 지급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용산구는 마치 오세훈 서울시장이 구에 상을 준 것처럼 과도하게 포장해 홍보했다.
다만, 오세훈 시장은 전날 서울시의회 시정질문에 참석해 이번 논란에 대해 이유 불문 이태원 참사 유가족에게 사과했다.
임성엽 기자 starleaf@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