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한경제=김현희 기자] 오는 2063년 기대수명이 90.5세로 초고령 사회가 될 전망이다. 정년 나이 60세는 변함없지만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의 퇴직연력은 50세 미만이 49.4세에 불과하다. 기대수명은 늘어나는데 은퇴 이후 고령자들의 소득 기반은 마련된 것이 없다.
또 다른 일자리 창출 또는 노후자산 증식이 고령층의 소득 기반을 만들어줄 수 있는 수단인데 대부분 부동산에 묶여있다보니 추가 현금흐름을 만들기 어렵다. 일자리 찾기는 하늘의 별따기인 만큼 부동산을 활용한 소득기반 구축 등 노후자산 확보가 가장 큰 숙제가 되고 있다.
◇부동산 보유하면서 현금흐름 확보해야
하나금융연구소는 지난해 은퇴를 앞둔 베이비부머(50~64세) 세대 중 금융자산 1억~10억원 보유한 자산가 대상으로 노후 자산관리 관련 행태를 조사했다고 29일 밝혔다. 금융자산 최대 10억원을 보유하고 있어도 여전히 "은퇴 후 재정상태가 불안하다"는 답변이 전체 58.5%를 차지했고, 그 다음이 은퇴 이후 중대질환(54.2%), 생활비 부족(47.4%) 등이었다.
특히 은퇴를 앞둔 베이비부머 중 71.1%가 은퇴 후 현금흐름 설계에 대해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실거래가 기준 17억원 이상의 고가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지만 금융자산 규모가 3억원 미만으로 많지 않은 시니어 계층이 전체 89.5%를 차지했다. 고가 부동산에는 주택담보대출 등 대출이 엃혀 있어 이같은 고민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보유 주택을 활용한 연금상품을 가입할 의향이 43.6%로 절반에 가까웠다. 17억 미만 부동산 보유자는 절반 이상인 58.5%였다. 전반적으로 베이비부머는 자산의 가격 변동성이나 다른 보유자산과 상관없이 추가적인 현금흐름 확보가 어려운 특정 연령 이후 주택연금에 가입하기를 희망하고 있다.
◇12억원 초가 주택 보유자, 내집연금 '주목'
고가 주택을 보유한 자산가 중 대부분이 보유주택 1채 외에 노후생활자금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들의 평균 연령은 65~80세 정도였다. 근로소득이 거의 없고 연금수령과 약간의 임대소득을 기반으로 생활하는 사례가 많았다.
물론 국내에는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주택연금 상품과 금융회사에서 판매하는 민간 역모기지론이 있다. 한국주택금융공사의 주택연금은 기존에 보유한 주택에서 그대로 거주하면서 부동산 자산을 현금화하여 은퇴 생활자금을 만들 수 있지만, 공시가격 12억원 이하 주택만 해당된다. 그리고 민간 역모기지 상품은 장기 주택저당 대출상품으로 비소구 종신 연금 지급을 제공하지 않는 한계가 있다.
서울 수도권 등 일부 지역에서는 주택가격이 상승하면서 공시가격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사례가 나왔고 민간 역모기지론의 경우 주택담보대출 관련 규제(LTV, DTI, DSR 등)가 모두 적용되기 때문에 가입자의 소득에 따라 실행 가능한 대출액이 매우 작은 경우도 있다.
하나금융그룹은 이같은 문제를 포착, 지난 5월 공시가격 12억원 초과 주택을 담보로 하는 역모기지론 연금상품을 출시했다. 하나은행과 하나생명은 금융위원회에 '혁신금융서비스'로 '하나더넥스트 내집연금' 상품을 신청했는데, 금융권에서 유일하다.
연령이 높고 소득이 많지 않아 노후생활자금이 부족한 시니어 세대를 대상으로 평생 거주를 보장하며 매월 연금을 수령하는 상품이다. 실제 현장에서는 출시 이후 많은 문의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본인이 거주하는 주택을 담보로 평생 연금을 지급받으면서 거주를 보장받고, 혹여 본인이 사망하더라도 배우자가 동일 연금액을 지급받는 종신형 상품이다. 배우자마저 사망하게 되면 미리 정해진 처분절차를 통해 부동산을 처분하고 잔여재산은 귀속권리자(자녀)에게 제공하는 개념이다. 혹시 주택가격이 하락하더라도 부족액을 상속인에게 요구하지 않는 비소구 방식이어서 더욱 매력이 있다는 평가이다.
김현희 기자 maru@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