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탁대가로 금품 수수 의혹
통일교 교단 등 수사력 집중
[대한경제=이승윤 기자] 김건희 여사를 둘러싼 각종 의혹을 수사 중인 민중기 특별검사팀이 의혹의 정점인 김 여사를 재판에 넘기면서 특검 수사가 2라운드로 접어들었다.
특검은 ‘건진법사’ 전성배씨를 통한 공천 개입 의혹을 비롯해 김 여사가 여러 사람으로부터 금품을 받는 대가로 인사 청탁을 들어주는 등 ‘인사 전횡’을 휘둘렀다는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수사력을 집중할 전망이다.
![]() |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 사진: 연합뉴스 |
31일 법조계에 따르면 특검팀은 이날 특정범죄가중법 위반(알선수재) 및 정치자금법 위반 등 혐의를 받는 전씨를 상대로 구속 이후 세 번째 소환 조사에 나섰다.
전씨는 앞서 구속 기소된 윤영호 전 통일교 세계본부장으로부터 2022년 4~8월쯤 통일교 교단 현안을 청탁받는 대가로 명품 목걸이와 가방 등을 받아 김 여사에게 건넨 혐의를 받고 있다.
특검은 김 여사의 공소장에도 전씨와 공모해 통일교 지원 관련 청탁을 받고 모두 8000만원 상당의 금품 등을 수수한 혐의를 적시한 상태다.
또한 전씨는 2022년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치권 관계자들로부터 ‘기도비’ 명목으로 1억여원을 받고 당시 여권인 국민의힘 지도부 인사들에게 공천을 청탁했다는 의혹도 받는다.
특히 특검은 전씨가 윤 전 본부장과 공모해 2023년 국민의힘 전당대회를 앞두고 친윤(친윤석열)계 중진인 권성동 의원을 당 대표로 당선시키기 위해 통일교 교인들을 당원으로 가입시키려 했다는 의혹도 들여다보고 있다.
김 여사가 전씨를 거쳐 통일교 교인들을 동원해 국민의힘 전당대회에 개입했고, 이를 대가로 지난해 총선 당시 통일교 측에 비례대표 공천을 약속해줬다는 게 의혹의 골자다.
특검은 전씨의 구속 기한이 끝나는 9월9일 이전에 전씨를 구속 상태로 재판에 넘긴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해 한학자 통일교 총재는 이날 예배를 통해 내놓은 ‘참어머님 특별 메시지’라는 제목의 입장문에서 “어떤 불법적인 정치적 청탁 및 금전 거래를 지시한 적이 없다”며 의혹을 전면 부인했다.
한 총재가 통일교 관련 의혹이 불거진 이후 공개적으로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권 의원이 2022년 2∼3월 한 총재를 찾아가 큰절하고 현금이 든 쇼핑백을 받아 갔다는 의혹, 한 총재의 해외 원정도박 수사 정보를 통일교 측에 흘려 수사에 대비하도록 했다는 의혹도 특검의 수사 대상이다.
특검은 조만간 한 총재를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것으로 보인다.
통일교 측으로부터 불법 정치자금 1억원을 받은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된 권 의원도 이날 SNS를 통해 “방문과 인사는 사실이지만 금품을 받은 일은 없다”며 의혹을 재차 부인했다.
앞서 권 의원은 “부당한 정치 표적 수사”라고 주장하며 불체포 특권을 포기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권 의원에 대한 체포동의 절차는 이미 시작됐다. 국회 회기 중 현직 국회의원을 구속하려면 법원의 영장심사에 앞서 국회에서 체포동의 절차를 밟아야 한다.
이와 함께 김 여사가 2022년 3월 서희건설 이봉관 회장으로부터 ‘맏사위가 공직에서 일할 기회를 달라’는 청탁과 함께 명품 목걸이 등을 받았다는 의혹도 특검 수사가 한창이다.
이 회장 맏사위로 검사 출신인 박성근 변호사는 목걸이 전달 이후 약 세 달 뒤인 2022년 6월 한덕수 전 국무총리의 비서실장으로 임명됐다.
최근에는 이배용 국가교육위원장 임명 과정에서 김 여사를 통한 인사 청탁 정황까지 드러나 이른바 ‘매관매직’ 의혹이 확대되는 모양새다.
특검팀은 김 여사 일가의 양평 공흥지구 개발 특혜 의혹 수사를 위한 압수수색 도중 금거북이와 함께 이 위원장이 윤 전 대통령 부부에게 쓴 것으로 보이는 편지를 발견해 수사에 나섰다.
이승윤 기자 leesy@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