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8년까지 건설해야 할 송전선로 6만1183C-km
경과지 주민 보상 확대에 재정 부담↑
“과거 방식 탈피한 새로운 전력망 건설방안 고민해야”
[대한경제=신보훈 기자] 급증하는 전력수요에 대응하고, 전국적인 송전망 포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정된 ‘국가기간전력망확충특별법(전력망특별법)’이 이달부터 본격 시행된다. 전력망 사업의 인허가를 신속 처리하는 한편 경과지 주민에 대한 보상을 확대하는 것이 주 내용으로, 적기 건설을 위한 최소한의 제도적 장치가 마련됐다는 평가다.
다만, 인공지능(AI) 등 첨단산업 발달과 함께 전력망 건설 수요 또한 빠르게 늘어나는 만큼 과거 방식에서 탈피한 새로운 전력망 건설방안을 함께 고민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3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 2월 말 여야 합의를 통해 국회를 통과한 전력망특별법이 오는 26일 시행을 앞두고 있다. 앞으로는 국무총리 산하 전력망위원회에서 국가기간 전력망으로 지정한 사업에 대해선 각종 인허가를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승인하는 실시계획에서 의제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송전선로가 지나는 인접 주민과 지자체에는 송전사업자가 특별 보상이나 별도 지원을 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마련된다.
![]() |
345kV 북당진~신탕정 송전선로./산업부 제공 |
![]() |
지난달 27일 부산 파라다이스호텔에서 열린 공동 기자회견에서 이호현 산업통상자원부 2차관(왼쪽)과 파티 비롤 국제에너지기구(IEA) 사무총장이 발언하고 있다./산업부 제공 |
IEA “전력망 건설 지연, 에너지 안보 주요 리스크”
파티 비롤 사무총장 “전 세계, 발전 부문 대비 전력망 투자 저조”
전력망 투자가 중요해지는 것은 비단 국내만의 문제가 아니다. 전 세계적으로 전력사용량이 급증하면서 노후전력망 교체 및 신규 전력망 건설 수요가 늘어나고 있지만, 관련 투자는 뒷받침되지 못하고 있다.
파티 비롤 국제에너지기구(IEA) 사무총장은 최근 부산서 개최된 기후산업국제박람회에 참석해 “AI로 인한 전력수요 증가는 전력망 구축에 도전적인 과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가 인용한 IEA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10년(2013~2024년)간 세계 전력 사용량 증가율은 연평균 2.5%로, 전체 에너지 수요 증가율 1.3%의 약 2배다. 이에 따라 발전 부문에서 이뤄진 투자는 연 1조달러(약 1400조원)에 이르지만, 전력망에는 약 4000억달러(약 560조원)만 지출되고 있다.
그는 “지난 10년간 전력수요 증가 속도는 전체 에너지 수요의 두 배에 달했고, 2035년까지는 6배 더 빠른 속도로 확대될 것”이라며 “반면, 전력망 투자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AI 데이터센터를 지으려면 2년 정도가 걸리지만, (전력망을 건설해) 공급까지 하려면 8년이 걸린다”고 지적했다.
전력망 건설 지연은 향후 에너지 안보를 위협하는 리스크가 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파티 비롤 사무총장은 “에너지 병목 현상은 디지털 성장과 탈탄소화 모두에 큰 위험요소”라며 “전력망은 단순한 인프라 구축이 아니라 반드시 구축해야 하는 에너지 시스템”이라고 강조했다.
신보훈 기자 bbang@
![]() |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