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자본시장연구원 |
[대한경제=김동섭 기자] 사모펀드 부상과 가상자산 등 대체 투자처 확산으로 글로벌 기업공개(IPO) 시장이 위축되고 있다는 진단이 나왔다.
2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홍지연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최근‘글로벌 IPO 현황 및 각국의 정책적 대응’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밝히고 공모시장 활성화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짚었다.
실제 글로벌 IPO시장은 지난 2021년 이후 거래건수와 금액이 모두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 상반기 글로벌 IPO 건수 역시 전년 동기(562건)대비 4% 감소한 539건에 그쳤다.
홍 선임연구원은 “빠른 자금 조달과 규제완화 등 장점을 갖춘 사모펀드 자본이 부상하면서 IPO에 의존하지 않고도 대규모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대안이 생긴 탓”이라고 설명했다.
이어“상장 후 오히려 유동성이 부족해져 밸류에이션이 하락하자 사모펀드를 통한 비상장 상태가 기업에 유리하다는 인식이 퍼졌다”고 설명했다.
이런 이유로 글로벌 비상장 기업의 상장까지 평균 소요기간은 2014년 6년에서 지난해 10년으로 늘어났고, 유니콘 기업의 IPO비중도 2019년 52%에서 2024년 11%로 급감했다.
가상자산, 토큰증권(STO)등 새로운 대체 투자 수단의 등장도 IPO시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다.
홍 선임연구원은 “가상자산, STO 등 새로운 투자상품이 등장하면서 투자심리와 유동성이 이동했다”며 “이런 자산군은 IPO대비 높은 수익률에 대한 기대와 함께 낮은 진입장벽과 높은 회전률등의 유인으로 IPO 시장으로 유동성 유입을 억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 속에서 투자자들이 리스크 대비 높은 수익을 선호해 상장초기기업보다 더 큰 수익을 낼 수 있는 대체자산으로 옮겨갔다”고 덧붙였다.
이로 인해 공모시장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지원은 더욱 긴요해졌다.
미국에서는 상장기업 규제 부담 완화 및 거래 시간 연장 등의 조치를 통해 상장시장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잇고 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와 나스닥 등 업계 전반에서는 스타트업 기업의 상장유인을 위해 공시 의무 완화, 상장 비용 절감 및 소액주주 영향력 축소등의 내용을 포함한 광범위한 상장기업 규제개혁을 논의하고 있다.
유럽과 영국에서도 상장 체계 및 절차를 간소화해서 기업 친화적인 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유럽 최대 증권거래소인 유로넥스트는 7개 증권 거래소에서 사용할 수 있는 표준 투자설명서인 유럽공동투자설명서를 도입해 IPO 접근성을 개선했고, 영국은 이원화된 상장체계 단일화, 런던거래소 24시간 거래 등을 검토중이다.
홍 선임연구원은 “국내 당국에서도 기술특례상장 제도와 IPO 주관 업무를 개선하는 등 IPO 제도 정비작업에 착수중이다”며 “향후 기관투자자 의무보유확약 확대, 주관사 역할 책임 강화등 제도가 정착되면 공모가가 합리적으로 형성되고 기업가치기반 IPO가 지속적으로 활성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동섭 기자 subt7254@
〈ⓒ 대한경제신문(www.dnews.co.kr), 무단전재 및 수집, 재배포금지〉